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성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전문가입니다.

신성현 전문가
서울에이스내과의원 (개원예정)
내과
내과 이미지
Q.  진료챠트에기재된 내용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추정이 가능한 용어들을 제가 아는선에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pg: 흔히 '혈장 포도당' (plasma glucose)을 의미합니다. 이는 혈당 수치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냅니다.lipid: 일반적으로 '지질'을 의미하며, 이는 혈액 내의 지방 성분을 측정하는 검사를 나타냅니다. 지질 검사는 총 콜레스테롤, LDL, HDL, 중성지방 수치를 포함합니다.crep: 이는 'creatinine' 또는 'creatinine clearance'의 약어일 가능성이 큽니다. 크레아티닌은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uacr: 'urine albumin-to-creatinine ratio'의 약어로, 이는 소변에서 알부민과 크레아티닌 비율을 측정하여 신장 손상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ecg: 'electrocardiogram'의 약어로, 심전도 검사를 의미합니다. 이는 심장의 전기 활동을 기록하여 심장 상태를 평가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혈액검사에서 중성지방 수치는 낮으면 낮을수록 더 건강하고 좋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중성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은 혈액 속에 존재하는 지방의 한 형태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거나 체내에 저장됩니다. 일반적으로 중성지방 수치는 너무 높으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상적인 중성지방 수치는 보통 150mg/dL 이하로 권장됩니다. 영양이 충분한 식사를 하고 있고 현재 느끼는 주관적 기력저하가 없다면 낮은수치가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주기적으로 소화 불량이 발생하면 어디가 문제일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기능성 위장 장애는 특별한 원인이 없이 소화불량, 속 쓰림, 더부룩함, 구토, 부글거림 등 다양한 위장관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질환을 말합니다. 이 장애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위산 과다 분비나 헬리코박터 감염으로 인한 위염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으며, 커피나 콜라 같은 자극적인 음료, 항생제, 강심제, 고혈압 치료제 등의 약물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위에서 소장으로 음식물이 배출되는 능력이 저하되거나 위가 예민하게 반응하여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정서적인 요인 역시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신경이 예민하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된 증상으로는 윗배의 통증과 불편감, 소화불량, 자주 나는 트림, 음식 섭취 후 증상 악화, 소량 섭취에도 느끼는 포만감, 식후 팽창감, 트림과 메스꺼움 등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위 내시경, 대장 내시경, 기타 위장관 검사, 간 기능 검사 및 복부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기질적인 이상 여부를 확인하며, 위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약물 복용 여부도 확인합니다. 이러한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으면 기능성 위장 장애로 진단됩니다. 치료는 원인 제거보다는 증상 완화에 중점을 두며, 운동 기능 개선제, 소화제, 가스 제거제, 헬리코박터균 제거제, 변비약, 설사약 등을 처방합니다. 약물 치료 기간은 증상이 개선될 때까지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최대한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하고 정해진 시간에 편안한 환경에서 천천히 잘 씹어 드시는 것이 소화에 도움이 됩니다. 적당한 운동과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식사 습관을 유지하며, 개인에 따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음식이나 술, 담배, 카페인, 탄산음료 등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통풍관현 문의입니다 도와주새요 ㅜㅜ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요산수치가 높다고 통풍은 아닙니다.통풍과 관련된 증상은 없고 요산수치만 높은 경우를 [무증상 고요산혈증] 이라고 하고치료의 대상은 아니기에 당장 약을 먹을 필요는 없지만향후 통풍으로 발전할수 있으니 통풍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관리를 하시면 됩니다. 통풍은 식습관과 비만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식생활을 개선해야 합니다. 고단백, 고칼로리식에는 통풍성 관절염의 원인이 되는 요산을 발생시키는 퓨린이 많이 들어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잦은 음주, 비만, 고콜레스테롤 혈증, 당뇨, 고혈압 등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치료해야 합니다. 저퓨린 식이와 금연이 필요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코뼈 휨 증상 비중격만곡증의 원인은 무엇이며, 수술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비중격 만곡증은 코의 중앙에 위치하여 콧구멍을 둘로 나누는 비중격이 휘어져 코 관련 증상이나 기능적 장애를 유발하는 상태입니다. 주로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받으며, 코와 비중격에 관련된 증상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비출혈, 비폐색, 호흡장애 등이 있습니다. 비중격 만곡증은 비중격이 휘어져 코막힘이나 부비동염 등의 증상을 일으킬 때를 말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코막힘이 있으며, 좁아진 쪽의 코가 막히는 경우가 많지만 넓은 쪽 코가 막힌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기간 지속되면 하비갑개의 점막이 두꺼워지는 비후성 비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후비루, 구호흡, 두중감, 기억력 감퇴, 주의 산만, 수면 장애, 수면 무호흡, 후각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급성 비염이 잘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만곡된 부위가 비강의 측벽을 눌러 두통이나 안면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만성 비부비동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선천성 기형, 출산 시 외상, 성장기 외상, 비갑개의 비후, 비용종, 비내 종양이나 이물질 등이 있습니다. 진단은 전비경 검사로 가능하며, 비강 기능검사, X선 촬영, 전산화 단층촬영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비중격 만곡증의 치료는 증상을 유발하거나 기능장애를 일으킬 때 필요합니다. 초기 치료로는 비점막 수축제를 복용하거나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코 세척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근본적인 치료는 비중격 성형술을 통해 가능합니다. 이 수술은 전신마취나 부분마취 하에 시행되며, 코 안으로 접근하여 외부에 상처를 남기지 않습니다. 휘어진 뼈나 연골 부위를 절제하거나 교정하여 비중격을 바로잡습니다. 수술 후 약 3~4주 동안 주 1~3회 정도 외래 치료가 필요합니다.
2112122132142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