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혜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전문가입니다.

최혜정 전문가
한우리독서토론논술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이들이 호기심이 많아 사고를 너무 쳐요
아이들은 정말 호기심이 많아서 사고를 많이 치죠 ㅠ 아이를 키우다보면 아슬아슬 할때가 한 두번이 아닌 것 같아요. 실제로 다친적도 많구요 ㅠ 이런 일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질문자님 말씀대로 높이두고 멀리두고 위험 한 물건을 아이들 주변에 두지 않는 것 입니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조심하는 방법, 왜 위험한지 등을 지속적으로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와 소통을 잘하는 부모가 되려면 어떤점들을 기억하면 좋을까요?
올바른 소통을 고민하고 계시다니 그것만으로도 훌륭한 부모님의 자세를 가지신 것 같습니다. 아이와 소통을 위해서는 아이의 입장에서 아이들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아이가 화를 낸다고 같이 화를 낸다면 결국 어른과 아이가 없는 똑같은 연령의 똑같은 수준이 됩니다. 어른다운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여기서 어른다움이란 무서운 모습이 아닌 현명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하는 모습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자주하고 아이의 말에 경청, 관심을 가져주세요. 그리고 항상 아이의 편이 되어 이야기를 해주세요. 부모님의 내 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 아이들은 자연스레 소통하고 싶어하고 부모님과 보내는 시간을 즐거워 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요즘 아이들 훈계는 어떻게하는지궁금해요
참 아이러니 한 상황이죠. 적절한 훈육의 기준을 못 잡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오냐오냐 자란 아이들에게 어떤 훈육이 기준인지도 모르겠고 말이죠. 이제 아이들에게는 손바닥 훈육도 할 수 없습니다. 아이에게 권위적이거나 혹은 소리지르는 것도 함무로 할 수 없게 되었죠. 맞는 것 같으면서도 아닌 것 같은. 참 어렵습니다. 교권에 계신 선생님들이 참 존경스럽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의 사회성을 높여주기 위한 놀이 활동은 무엇이 있을까요?
요즘은 사회성 없는 아이들이 많아 정말 걱정입니다. 외동도 많고 학업, 학원, 부모의 맞벌이 등으로 아이들이 어른이나 또래 등과 이야기할 기회가 많이 없습니다. 그만큼 사회성도 떨어지고 있는 것 같아요. 코로나도 있었구요. 사회성을 발달시켜주려면 먼져 상대방에 공감하고 배려하는 마음, 나의 마음 올바로 표현하기, 상대방 입장 되어 보기, 매너지키기 등이 있습니다. 사회성은 결국 사회의 규범을 지키며 함께 협력하여 살아가는 능력입니다. 다양한 역할의 역할놀이를 통해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해 볼 수 있고, 다양한 책을 읽고, 부모님의 가정교육이 필요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점심약 먹는 경우 초등학생(초1)은 스스로 챙겨가서 먹나요?
1학년 까지는 그래도 담임 선생님께서 많이 신경쓰시는 편입니다. 아이에게 약을 챙겨주고 먹으라고 하고, 담임선생님께도 아이에게 약을 먹었는지 확인만 부탁드린다고 문자 보내는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의 물건 던지는 습관은 어떻게 고칠 수 있나요?
물건을 던진다는 것은 아이가 본인의 감정을 올바로 표현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 던지는 건지 어떤 감정인 것인지 자세히 관찰해서 원인을 파악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 준 후에 ,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물건을 던지면 안돼."라고 말해주세요. 아이가 물건을 던지지 않았을 때 칭찬과 격를 해주세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뭐가 그렇게 궁굼한지 계속 물어보는 아이...
ㅎㅎ 네 맞습니다. 저 나이의 특징입니다. 6살이면 생각도 많아지고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할 때 입니다. 사실 질문이 많은 아이가 똑똑하다는 말도 있죠. 그만큼 호기심과 궁금증, 탐구심이 많기 때문에 생각이 많이 확장됩니다. 많이 힘드시겠지만... 간단하게라도 대답해 주시는게 좋습니다. ㅎ 많이 힘드시면 요즘에 교육적인 영상이 많으니 궁금한 질문에 대한 좋은 영상을 찾아 보여주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동생과 서먹서먹한 아이는 어떻게 친해지게 해야하나요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데 아이들이 친해지지 않는군요. 첫째가 아무래도 사춘기 나이다 보니 어린 동생을 챙길 여유가 없을 것 같기도 합니다. 중 2면 아이와 대화가 통하니 동생에 대한 생각을 한번 물어보세요. 그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부모의 태도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아이 책상의자
아이의 바른 자세를 위해 아이에게 맞는 높이와 편한 의자가 좋습니다. 앉아 있기 불편하면 아이의 체형에 문제가 생길 수 있겠죠. 편하면서도 자세 교정에 도움되는 의자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워낙 기능성 의자가 많아서 바른자세를 위한 의자들이 많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가 공부를 하기 싫고 놀기만 하는데 어떻하죠?
사람은 누구나 노는 것을 좋아하죠. 아이의 흥미와 재능을 발견하면 동기부여도 되고 이를 학습과 연결시킬 수 있어 좋습니다. 공부와 놀이의 균형을 위해 목표를 함께 설정하고 시간표를 작성해 보세요. 학습을 재미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하기 싫은데 게임 및 학습도구를 활용하고 아이와 함께 목표를 정하고 달성해 가는 성취감을 느끼도록 기회와 상황을 만들어 줍니다. 아이의 노력을 칭찬하고 인정해 주세요. 긍정적인 학습태도에 도움이 됩니다.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