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아이와 소통을 잘하는 부모가 되려면 어떤점들을 기억하면 좋을까요?

사랑하는 아이에게 늘 힘이되고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고 싶은게 부모들 마음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커갈수록 대화는 줄어들고 자연스레 소통도 줄어듭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고 아이와 활발히 올바른 소통을 잘하려면 부모들이 어떤점들을 기억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올바른 소통을 고민하고 계시다니 그것만으로도 훌륭한 부모님의 자세를 가지신 것 같습니다. 아이와 소통을 위해서는 아이의 입장에서 아이들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아이가 화를 낸다고 같이 화를 낸다면 결국 어른과 아이가 없는 똑같은 연령의 똑같은 수준이 됩니다. 어른다운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여기서 어른다움이란 무서운 모습이 아닌 현명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하는 모습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자주하고 아이의 말에 경청, 관심을 가져주세요.

    그리고 항상 아이의 편이 되어 이야기를 해주세요. 부모님의 내 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 아이들은 자연스레 소통하고 싶어하고 부모님과 보내는 시간을 즐거워 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리 부모들이 아이와 소통을 하려할때 제일 기본이 되는것은 자녀가 말할 때 온전히 귀 기울이고 관심을 보이는 것입니다. 자녀의 말을 끊지 않고 끝까지 들어주며, 눈을 맞추고 고개를 끄덕이는 등 경청하고 있음을 적극적으로 나타냅니다. 두번째로, 비난이나 편견따위 없이 자녀의 감정과 생각을 존중해주려 노력해보세요. 간혹 부모님들은 먼저 판단하고 아이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세번째로는 "오늘 학교에서는 어땠어?" 처럼 개방형 질문을 통해 아이가 더 많이 열린 이야기할 수 있도록 대화를 이끌어나갑니다. 간단한 '예', '아니요'와 같은 단답형 질문은 지양해주세요.

    네번째로는, 아이가 잘한 일에 대해서는 항상 칭찬해주시고 감정 공유를 잘해주세요. 긍정적인 피드백은 자녀의 자존감을 높여주고 더 열린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자녀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마지막으로, 아이를 격려해주시고 아이가 가지고있는 감정에 공감해 주세요. "너무 화 났겠다" 또는 "네가 슬픈거 이해해"와 같은 표현으로 자녀의 감정을 공감해주는 겁니다.

    1명 평가
  • 아이와 올바른 소통을 위해서는

    기다려 줄수 있는 마음이 필요합니다.ㅎ

    그리고 일관된 훈육방법과 모범이 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아이가 사춘기 시기에 접어들면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는 시간은 줄어드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어렸을 때부터 아이들과 함께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어떻게 보면 아이들에게 시간을 투자하는 것입니다.

    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며 독서 나눔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와 잘 소통하기 위해서는 귀를 열고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잘못을 해서 혼내더라도 아이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닌 행동을 지적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커가면서 부모님보다는 친구가 좋아질 것입니다. 이는 아주 섭섭한 부분이 될 수 있을텐데, 하지만 아이의 사회성을 발달시켜주기 위해서는 어쩔수 없이 겪어야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너무 스트레스는 주지 마시고 아이의 인간관계 구축에 관심을 가져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한달에 한번 정도는 주기적으로 가족 모임을 가지는 게 좋겠습니다.

  • 아이와 소통을 잘하는 부모가 되려면

    아이의 기분을 살피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시는 것이 먼저 입니다.

    늘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 주시는 것이 좋아요.

    또한 아이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 지적하긴 보다는 아이가 왜 그러한 행동을 하였는지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도록 하세요.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실 때에는 아이의 이야기의 귀를 기울여 경청해 주시고, 앞서 언급했듯이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 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이야기가 끝나면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해 주신 후에 서는 이렇고 후는 이렇다 라고 하면서 아이의 잘못을 짚어주고 바로잡아 주시면서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긍정적인 답변과 얘기를 많이 해주시고 아이의 결정에 많이 지지해주세요. 물론 방향이 잘못되어보일 수도 있지만 나쁜방향으로 엇나가는게 아니라면 그또한 아이에게 경험이 될 수있고 부모의 무한한 지지를 받아 자존감이 높고 독립심이 강한 아이로 자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