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친구랑 같은 빨대로 음료수 먹었는데 충치균 옮나요?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아이가 충치없이 건강한 치아를 가질 수 있던건 아마 보호자님의 노력 덕분일 것입니다. 충치균은 타액을 통해 옮을 수 있기에 빨대를 통해 충치균이 옮았을 수도 있지만, 꼭 같은 식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대화하다가 침이 튀는것만으로도 충치균은 전염될 수 있고, 입안에 충치균이 있어도 양치질을 잘 하며 관리해주시면 충치가 생기지 않습니다. 만약 정말 입안에 충치균이 하나도 없었는데 그 친구에게 충치균이 옮은거라면, 그 전까지 입안의 유익균이 자리잡고 있었을 것이기 때문에 충치균이 힘을 발휘하기 힘들 것입니다.
Q. 사랑니 발치한지 2달이 넘었는데도 잇몸이 안좋아요.
안녕하세요. 한성미 치과위생사입니다.사람마다 뼈가 차오르는 기간이 오래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사랑니발치 후 6개월이 지나도 불편을 호소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또 사랑니가 있던 위치 및 각도나 염증여부에 따라 발치 후의 잇몸이 차오르는 정도도 다를 수 있습니다. 제가 글솜씨가 없어 그림을 대충 그려보았습니다.검정색선은 발치전치아가 있을 때의 상태이고, 노란색은 염증, 빨간색선은 발치후 예상되는 잇몸높이입니다.첫번째 그림은 사랑니 위치가 바르고 염증이 없을 경우이고, 두번째 그림은 사랑니가 매복되어있고 염증이 생긴 경우입니다. 치아뿌리부분이 잇몸에 잘 묻혀있어야 치아가 씹는 힘을 잘 견딜 수 있는데, 두번째 그림같은 경우에는 잇몸높이가 기존에 비해 많이 낮아지며 사랑니를 발치한곳 앞의 어금니가 휘청거리고 씹을 때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이 현재 어떤 상태인지 느낌을 묘사한 것 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치과에 가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