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와카 워터를 개발한 아르투로 빗토리가 이탈리아의 디자이너로서 어떤 디자인을 표현했고 어떤 건축을 했는지
아르투로 비토리는 1971년생으로 예술가, 건축가, 산업 디자이너로 활동가이며 AV(Architecture and Vision) 공동 창립자(안드레아스 볼거)입니다.활동1997-2002: 건축가들과 협업 (Jourda Architects, Duepiù France, Santiago Calatrava, Jean Nouvel)2002-2004: 에어버스 객실 디자인 매니저 (A380 항공기 포함)2005: Future Systems와 협업하여 나폴리 Monte Sant'Angelo 지하철역 디자인 (Anish Kapoor와 협업)2006: Francis Design에서 요트 디자인2003년 현재: 아키텍처 앤 비전 (Architecture and Vision) 공동 설립자 겸 파트너항공 우주 및 지상 응용 분야의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 및 기술 이전주요 프로젝트: DesertSeal (2004), MoonBaseTwo (2007), MarsCruiserOne (2007)주요업적뉴욕 현대 미술관 영구 컬렉션에 작품 포함 (DesertSeal, 2004)시카고 과학 산업 박물관 소장 (MoonBaseTwo, 2007)조르주 퐁피두 센터 전시 (MarsCruiserOne, 2007)"피라미드에서 우주선까지" 순회 전시 참가항공 우주 건축, 기술 이전, 지속 가능성, 예술 분야 국제 회의 강연2014년에 안드레아스 보글러와 결별 후 각자 개인 회사 설립 하였습니다.(Architecture and Vision, Andreas Vogler Studio)주요작품 아키텍처 앤 비전 (Architecture and Vision) 시절DesertSeal (2004): 극한 환경 텐트 프로토타입, 뉴욕 현대 미술관 영구 컬렉션MoonBaseTwo (2007): 달 장기 탐사를 위한 팽창식 서식지 모델, 시카고 과학 산업 박물관 소장MarsCruiserOne (2007): 인간 화성 탐사 가압 실험실 탐사선 디자인, 조르주 퐁피두 센터 전시나폴리 Monte Sant'Angelo 지하철역 (2005): Anish Kapoor와 협업, 미래파 예술에서 영감을 받은 복잡한 조명 설계다양한 항공사의 항공기 객실 인테리어 디자인: 특히 A380 항공기개인 프로젝트Cloud City (2019):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고층 농장 개념, 도시 공간 내 식량 생산 가능Waterfront Battery (2022): 해안 도시를 위한 침수 방지 솔루션, 해수면 상승에 적응 가능한 섬 형태의 건축물
Q. 파나마 운하의 운행 원리에 대해 알려주세요
파나마 운하는 아메리카 지역의 중간인 파나마 지역에 건설된 82km 운하입니다.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중요한 곳입니다.최초에 프랑스가 수에즈 운하 건설 경험을 살려 운하건설에 도전하게 됩니다.하지만 이지역은 산지, 정글로 운하를 만드는것이 어려웠고 말라리아에 의해 많은 노동자들이 사망하게 됩니다. 결국 프랑스는 공사를 포기하게 되었습니다.역사적으로 파나마는 콜롬비아 영토였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운하를 건설하기 위해 파나마라는 나라를 만들었습니다. 미국도 산지,정글로 이뤄진 이곳에 운하를 건설하는것이 매우 어렵다는것을 알게됐습니다. 그래서 산을 깎아 평지를 만들기보다는 배를 산으로 올리는것으로 계획하게 되었습니다.운하의 원리는 선박이 수로에 들어오면 물을 채워서 높은 수로로 올리고 낮은 곳으로 갈때는 물을 빼 내려서 통과하도록 만들었습니다.운하 통과 시 걸리는 시간은 8시간이고, 대기시간을 포함하면 24~30시간정도가 걸린다고 하네요.
Q. 다리의 기둥을 지을때 물을 막아서 하나요??
한강과 같은 큰 하천이나 해상에 교량을 설치할 때는 특수 기초 공사가 필요합니다.우선, 우물통 기초와 유사한 방식으로 크레인을 사용하여 물막이 가시설을 설치합니다. 이는 시트파일이나 강관을 강 바닥 하부에 깊숙이 박아 넣어 벽을 만들고, 물의 침투를 막기 위해 단단히 시공하는 작업입니다. 사각형 모양의 물막이 가시설을 설치한 후, 가운데 있는 물을 제거합니다. 그 다음, 흙이나 콘크리트로 차수 작업을 하고 원하는 교각 기초를 시공합니다.수심이 깊은 해상에서는 케이슨 기초를 사용합니다. 이는 육상에서 큰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한 후 바다로 끌고 가서 콘크리트 내부를 채워 바다 속에 가라앉히는 방식입니다. 이 구조물이 물막이 역할을 하게 됩니다.따라서, 교각 기둥이 물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 아래로 수십 미터 이상의 콘크리트 덩어리나 말뚝 등의 기초가 시공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최그에는 OSC(탈현장시공) 연구가 활성화 중입니다. (제작 설치) 장래에는 현장 타설 및 시공 방법이 아닌, 제품을 결합하는 형태의 구조물 설치 방법이 활성화 될 것입니다.
Q. 진흙이랑 뻘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진흙은 일반적으로 물과 섞인 액상의 흙을 말하며, 지질학적으로는 암석이 풍화, 침식, 운반되어 생긴 암설 중에서 역이나 모래보다 작은 입자를 가진 것을 의미합니다.뻘은 특정한 지질학적 용어가 아니라, 보통 바닷가나 강가에서 발견되는 진흙을 가리키는 일상적인 용어로 사용됩니다.식물 재배와 관련해서는, 진흙은 수분 유지가 잘 되고 칼슘, 칼륨, 마그네슘 같은 영양분이 풍부하여 일부 식물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진흙에서 잘 자라는 식물로는 아스타,코레옵시스,데이릴리 등이 있습니다. 진흙을 그데로 사용하기보다는 유기농물질(유기농퇴비,부엽토, 바크. 톱밥, 피트모스,녹비)의 재료를 조합해 흙의 구조와 경작상태를 향상시킬수 있습니다.
Q. 도로에 열선을 깔아놓게되면 어떤 원리로 눈을 녹이는 건지 궁금합니다!!
도심지 열선은 아래와같이 시공됩니다.도로 표면이 2°C 이하가 되고 눈이 감지되면 매설된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며 작동하게됩니다.이때 전기저항으로 열이 나오는데, 이 열이 지표까지 올라와 도로 위 눈과 얼음을 녹입니다.참고로, 열선 설치비용은 m당 140만원정도로 비용이 고가 입니다. 또한, 열선사용으로 인한 전기료, 유지관리비가 상당히 비싸므로, 설치시 경제적인 부분이 고려되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