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세유럽 봉건제 몰락의 원인과 근대화로 접어들었던 배경이 무엇일까요?
11~13세기 중세가 안정기에 들어서면서 도시가 발달하였지만 장원 체제를 약화시켰습니다. 도시의 자치와 길드의 등장은 자급자족적 장원 경제를 붕괴시키고, 봉건적 주종 관계를 약화시켰습니다. 특히 14세기 흑사병의 유행으로 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농민의 지위가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농노 해방으로 이어졌습니다. 반면 십자군 전쟁 이후 기사 계급이 약화되고 왕권이 강화되면서 중앙집권 체제가 형성되었습니다. 흑사병, 십자군 전쟁, 도시와 상업의 성장, 왕권 강화 등 복합적 요인으로 봉건제가 붕괴되고, 유럽은 점차 근대적 중앙집권 국가와 시장 경제 체제로 이행하게 되었다.
Q. 로마제국 말기에 교황의 지위와 기독교는 어떤 지위를 갖고 있었나요?
로마 제국 말기 313년 밀라노 칙령을 통해 크리스트교를 공인하였으며, 392년 데오도시우스 황제는 국교로 지정되면서 사회 전반에 깊이 뿌리내렸습니다. 이에 따라 교황은 로마 교회의 수장으로 점차 종교적, 정치적 권위를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특히 서로마 말기 혼란 속에서 교황은 신의 대리자이자 교회의 최고 지도자로 자리매김하며, 황제의 권위가 약화된 틈을 타 정치적으로도 영향력을 확대했습니다. 교황 레오 1세는 황제의 명령을 이끌어내고, 외적의 침입을 막는 등 실질적인 지도자 역할을 하며 교황의 수위권을 확립했습니다.
Q. 유럽이 중세이후에 르네상스운동이 일어나는에 해당 변화가 로마의 정신과 무슨 연관이 있나요?
르네상스는 14~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문화, 예술 운동으로 핵심은 그리스 로마의 문학, 예술, 사상 등 고전 문화를 재발견하고 본받으려는 데 있습니다.중세의 신 중심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의 가치와 합리성 현실 세계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었는데, 이는 로마와 그리스의 인간 중심적 합리적 전통을 게승한 것입니다. 이탈리는 로마 제국의 엣 터전으로 고전 문화의 전통이 남아 있고, 자유로운 도시 분위기와 경제적 번영으로 고전 문화 부활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르네상스는 단순한 고전 부활이 아니라 로마의 인간 중심적, 합리적 정신을 바탕으로 새로운 근대 문화를 창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Q. 중세 유럽시대에 있어서 길드와 도시가 봉건제도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11~13세기 상업과 무역이 활성화되고 도시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시민 계급이 형성되었습니다. 이들은 영주에게 자치권을 획득하여 도시의 행정, 사법 기구를 갖추고 독립적 경제, 정치 공동체를 발전시켰습니다.길드는 이 도시에 거주하는 상인과 수공업자들이 서로의 이익을 보호하고 상업과 수공업을 이끌기 위해 동업 조합인 길드를 조직하였습니다. 길드는 가격, 품질을 통제하고 도시 경제의 핵심 주체가 되었습니다. 도시의 시민 계층의 성장 등 근대적 사회로의 이행을 촉진했습니다. 국왕은 도시 시민의 부와 지원을 바탕으로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강화할 수 있었고, 이는 봉건 영주 세력의 약화로 이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