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트로이전쟁의 열쇠로 볼수있는, 트로이목마의 실제성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나?
트로이 목마가 실존했다는 것에 대해서는 고고학적 문헌적 증거가 확실하지 않습니다. 19세기 하인리히 슐리만이 튀르키예 유적을 발굴하여 트로이 도시와 전쟁이 실제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그렇지만 트로이 목마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고고학적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못했습니다. 트로이 목마는 호메로스 서사시 , 등 서사시와 후대 작가들의 기록에서 전해지며, 일부 학자들은 실제로는 거대한 목마가 아니라 신에게 바치는 공물이나 목재 공성 무기, 혹은 특공대 침투 작전의 상징적 표현일 가능성을 해석합니다.
Q. 로마제국에서 시작된 실크로드가 동양의 어디까지 교역이 이루어졌나요?
로마 제국에서 시작된 실크로드는 중국의 장안까지 이어졌습니다, 실크로드는 중국의 수도 장안에서 출발해 하서주랑, 툰황을 지나 천산 산맥의 남쪽과 북쪽을 지나 신장 위그루 지역의 투르판, 쿠차 거쳐 아크수, 카슈가르 등 오아사스 도시를 거쳐 중앙사시아와 이란, 서아시아, 로마까지 연결됩니다.
Q. 실크로드 시대에 주로 교류했던 품목은 무엇이 있고 중국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실크로드 시대에 주로 교류하였던 것으로 중국은 비단, 도자기, 차, 종이, 철기, 약재 등을 수출하였습니다. 그리고 서방에서 중국으로는 향신료, 보석, 금, 유리, 호두, 포도, 후추 등을 전했습니다. 비단길은 새로운 농작물과 향신료 등을 전했으며, 불교와 같은 외래 종교와 문화도 중국에 유입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실크로드는 단순한 무역로를 넘어 동서 문명 교류의 중심 역할을 했습니다.
Q. 기원전후에 물품 교역을 위해 사용하던 결제수단은 무엇이었나요?
기원전후에 물품 교역을 위해 사용하던 결제 수단은 주로 현물입니다. 예를 들어 밀, 쌀, 보리와 같은 곡물입니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은과 함께 보리를 결제 수단으로 쓰였고,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쌀이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중국 한나라와 우리나라는 비단. 삼베, 무명 등의 옷감을 사용했습니다. 그외 가축, 조개껍데기, 철, 옥 등 특산물을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였습니다.
Q. 예전 신라시대 때 선덕여왕이 기틀을 잘 닦아놨다고 하는데, 그 이후 왕들은 어디서부터 잘못되서 신라가 망했는지요??
선덕여왕 이후 성골 출신 남성 왕족이 단절되며서, 진덕여왕의 이후 김춘추를 비롯한 진골 출신이 왕위를 차지하였습니다. 비록 8세기 신라 중대에는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체제 안정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혜공왕이 암살되고 선덕왕 이후 내물계 진골 출신들이 왕권을 놓고 다툼을 벌이면서 반란이 빈번했습니다. 게다가 중앙의 왕위 쟁탈전으로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지방에는 호족이 등장하여 독자적으로 권력을 행사하였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농민들은 몰락하였으며, 유학을 바탕으로 개혁을 주장하던 6두품들이 정치적으로 소외되면서 반신라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결국 10세기초 후백제, 후고구려가 건국되면서 후삼국으로 분열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