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야구 선수 최동원과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두 사람은 모두 부산 출신이지만 권위주의와 기득권에 맞서는 반골 기질,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을 가진 인물입니다. 최동원은 1988년 프로야구 선수 결성을 앞장섰으며, 노무현 변호사가 법률 자문을 해주는 등 노동 인권 문제에도 함께 했습니다. 최동원 선수는 1991년 지방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부산 서구에 출마하였으며,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길 등과 함게 선거 운동을 하였습니다. 최동원과 노무현은 부산 민주화 운동과 개혁정치의 현장에서 함께 했던 정치적 동지이자 서로 존중하고 지지한 인연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정조는 왜 신하들의 벽을 못넘었나요?
정조는 규장각을 설치하고 서얼을 허통하고 검서관으로 임용하는 등 신진 세력을 등용하였습니다. 또한 초계문신을 시행하여 젊은 관리들을 재교육하여 활용하였습니다. 게다가 장용영으로 군사권을 일부 장악하며 친위세력을 키웠습니다. 하지만 당시 조정은 이미 노론 벽파 등 보수적 신권 세력이 오랜 기간 권력을 장악하고 있어 정치 구조상 왕이 독단적으로 모든 것을 바뀌기는 쉽지 않았습니다.특히 정순왕후와 노론 벽파 등 강력한 반대세력과 끊임없이 대립하면서 반발과 견제에 충돌했습니다. 결국 정조의 개혁은 왕 개인의 역량과 의지로 신권체제를 넘지는 못했던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대, 중세 시대에 초야권은 실제로 존재했었나요?
초야권은 중세 유럽의 영주가 농노의 신부와 결혼 첫날밤을 보낼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실제로 이런 제도가 공식적으로 존재했다는 명확한 역사적 기록은 거의 없습니다. 이 개념은 중세 이후 문학과 전설, 낭만주의 시대의 창작물로 주로 등장했습니다. 실제로는 결혼세 등 경제적 부담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해석이 많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대한민국의 양극화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우리나라의 지역별 양극화, 즉 영호남 중심의 지역주의가 본격적이기 시작한 것은 1971년 제 7대 대통령 선거부터입니다. 이 선거에서 박정희와 김대중이 맞붙으면서 영남과 호남 지역 유권자들이 각자 추린 지역 후보를 강하게 지지하는 현상이 뚜렸습니다. 박정희는 선거 유세에서 자신이 경상도 출신을 강조하며 지역감정을 자극했고, 김대중 역시 호남 소외론을 내세우며 맞대응하였습니다. 그 결과 영남에서는 박정희, 호남에서는 김대중 득표율이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면서 지역 감정이 노골화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라의 김춘추는 어떻게 왕이 될 수가 있었나요?
김춘추는 진지왕의 손자였지만 진지왕이 폐위된 후 왕위 계승권에서 멀어졌습니다. 그런데 진평왕이 자신의 직계만 왕위 계승권을 잇는 원칙을 세웠지만 그에게는 딸밖에 없었습니다. 김춘추는 비록 진골 신분이지만 어머니는 천명부인으로 진평의 딸입니다. 이는 성골 출신 왕위가 단절된 후 왕위 계승을 이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게다가 김유신 집안과 강력한 군사 동맹을 통해 배경을 탄탄히 하고,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국위선양을 할 수 있는 것들은 무엇이 있나요?
국위선양은 꼭 국가 대표나 유명이 아니어도 일반인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국제 대회, 공모전 등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내어 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 문화를 해외에 알리고 긍정적 이미지를 전파하는 것도 국위 선양입니다. 또한 단순하게 해외서 친절하고 성실하고 배려하는 모범적인 시민 의식과 행동을 보여주는 것도 한국인의 긍정적 인상을 주어 국위를 선양하는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친일파의 후손들이 불이익이 있나요?!!
광복 이후 친일파의 후손들이 공식적으로 법적으로 불이익에 처한 것은 없는 것같습니다. 이는 광복 이후 친일 반민족 행위 처벌을 실패한 데서 기인합니다. 1948년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헌법에 의해 반민법이 제정되고, 이를 집행하기 위해 반민특위가 조직되었으나 이승만 대통령과 친일 경찰의 반발로 실패하였습니다. 이후 친일파들과 후손들은 기득권을 이용하여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특권을 강화하였습니다.다만 2005년 친일재산귀속법이 제정되어 반민족 해우이로 취득한 재산이 국가에 환수되는 경우가 잇습니다. 그라나 실제로 친일파 후손들이 재산을 제3자에게 매각하거나 해외로 이민 가능 등 재산을 지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오히려 최근에는 국가에 환수된 친일파 재산 중 일부가 수의 계약으로 다시 친일파의 후손에게 매각된 사례도 있습니다. 친일파 후손이라는 이유만으로 법적, 제도적 불이익은 거의 없으며, 재산 환수도 불법 취득 재산에 한정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는 힘든일이 생기면 젓먹던힘을 다해
'젖먹던 힘'은 우리 말에서 매우 강한 힘과 노력을 다한다는 의미로 비유적으로 자주 씁니다. 이는 아기가 젖을 빨 때 온뭄의 힘을 다해 집중하는 모습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아기는 먹는 것이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젖을 빨때 정말로 가지고 있는 힘을 다한다고 합니다. 비록 작은 몸이지만 젖을 먹을 때는 온몸의 에너지를 다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모습을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 비유하여 사용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산속에 있는 절을 짓는데 사용하는 나무는 어떤 나무를 사용하나요?
우리나라 절 건축에는 주로 소나무를 가장 많이 사용하여 지었습니다. 곧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방수력이 강해 곤충에 강한 특성이 있어 기둥, 대들보, 서까래 등 주요 구조재로 적합합니다. 그리고 느티나무는 단단하게 뒤틀림이 없어 대들보, 문짝, 마루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전나무는 서깨래, 지붕 구조로도 사용했습니다. 그외 참나무 상수리 나무도 사용하여 절을 지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 4.3 사건이 일어난 시기와 이유는 왜 일어난건가요?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일어난 민족사의 비극입니다. 광복이 되었지만 미군정은 친일파 관료와 경찰을 그대로 유지하였습니다. 특히 제주도는 다른 지역보다 경제적으로 어려움과 수탈이 심각했습니다. 그리고 광복 이후 두번째로 맞이하는 1947년 3.1절 기념식은 도민의 1/10에 해당하는 3만명이 모여 성토하였으며, 행사가 끝나고 경찰이 발포로 민간인 6명이 사망한 사건이 도화선이 되었습니다.이후 제주도민들이 총파업으로 저항하자 경찰과 서북청년회 등 극우 단체가 강압적으로 진압하였습니다. 게다가 도민들이 남한만의 단독선거에 반대하자 탄압이 심화되었으며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주도로 통일정부 수립을 주장하며 무장봉기하였습니다.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수 많은 제주도민들이 희생되었습니다.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