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코노클라스무스가 없었다면 동로마제국의 정치·문화는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아이코노클라스무스는 특정 인물이 안리ㅏ 동로마 제국에서 8~9세기에 벌어진 성상 파괴 운동을 의미합니다. 레온 3세와 콘스탄티누스 5세 등이 주도하며 성솨 숭배를 금지하고 성화와 성상을 파괴했습니다.이 운동으로 황제와 교회, 수도원 간 갈등이 심화되고,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의 갈등이 커졌습니다. 그리고 수 많은 예술 작품과 문화재가 소실되었습니다.만약 아이코노클라스무스가 없었다면 동로마 제국은 내부적으로 정치적 안정과 정교의 협력, 수도원의 영향력 강화, 동서 교회의 갈등 완화 등 긍정적 영향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풍부한 종교 예술 전통의 보존 등에서 더 발전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Q. 사산조·이슬람 제국과의 지속적 경쟁이 비잔틴을 어떻게 ‘현대화’했나요?
사산조 페르시아, 이슬람세력은 비잔틴 제국과 경쟁하였습니다. 비잔틴 제국은 이를 막아내면서 장기간 생존했습니다. 비잔틴 제국은 빈번한 전쟁과 국경 방위를 위해 군사, 행정 구역인 티마르 제도를 시행했습니다. 이는 군사 주둔지와 농경지를 결합해 병농일치를 실현하고, 지방 방어를 효과적으로 조직했습니다. 또한 상비군과 직업 군인, 전략적 기동전 등을 장려하며, 유목민, 이슬람의 침공에 유연하게 대처했습니다.그리고 지속된 외적의 침입에 대비해 세금 체계를 정비(효율적 징수, 간접세 도입 등), 국고를 튼튼히 하였습니다. 도시와 농촌에서 생산과 무역, 제조·공예를 육성하며 경제의 다각화를 추진했으며, 이집트 곡물 확보 등 식량정책도 중요했습니다. 또한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등 방대한 법률, 행정 개혁 추진, 교회와 국가 융합으로 신분, 민족, 종파적 분열을 완화하였습니다. 그리고 다각적인 외교 전략을 발전시켰습니다. 이런 개혁 덕분에 오랫동안 비잔틴 제국은 외부의 위협을 효과적으로 견뎠습니다.
Q. 유럽 중세 봉건제가 현대 민주주의 제도에 남긴 영향은?
유럽의 봉건제도가 오늘날 민주주의 체제에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몇가지 점에서 양향을 준 것은 사실입니다. 예를 들어 봉건제의 핵심은 권력의 분산입니다. 각 지역의 영주들은 자신의 영지에서 불입권을 바탕으로 독자적 자치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왕이나 중앙 권력에 의한 통제가 제한적입니다. 이러한 분권적 통치 구조는 권력 분립과 지방 자치 구조, 권력 분산과 견제 등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봉건 사회 후기에 등장한 보통법 제도, 영주의 법적 자치권, 계약, 서약의 효력 등은 현대 영미법 체계에 영구적인 기본 토대가 되었습니다.
Q. 비전향장기수가 북한 송환을 요청했다고 하는데...
비전향 장기수는 대한민국에 체포되어 감옥에서 장기간 복역하였으나 공산주의 사상을 포기하지 않은 인민군 포로, 남파 간첩, 남로당 당원, 빨치산 등의 북한계 인사들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전향이란 본인의 이념을 버리고 대한민국 체제를 수용, 서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대부분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 체포되어 국가보안법 등으로 수감되어 40년 이상 옥살이를 한 이들도 있습니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 직후 63명의 비전향 장기수가 송환되었고, 이후 여러 이유로 남한에 계속 살게된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들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나 오랜 기간 북한 거주 가족과 생이별하였기 때문에 송환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현재 남한에 생존 중인 비전향장기수는 극소수(2024년 기준 10여 명 내외)이며, 대부분 고령입니다. 정부는 인도적 차원에서 이들의 생활·의료 지원 등도 일부 제공하고 있습니다.
Q. 최초의 피라미드는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라고 알고 있는데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메소포타미아 지구라트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 가운데 하나입니다. 최초의 지구라트는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 문명에서 등장했고, 이후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등지로 확산되었습니다. 지구라트는 계단식 피라미드 구조이며, 꼭대기에는 정상부에는 도시를 수호하는 신에게 바치는 신전이 지어졌습니다. 지구라트의 주재료는 햇볕에 말린 진흙 벽돌과 구운 벽돌입니다. 여러 방향에서 계단이 올라가도록 설계되어 사제들이 신전에서 의식을 집행할 때 사용합니다. 이들은 신들이 하늘 위 높은 곳에 거주한다고 여겨 높고 크게 진 것으로 추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