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윤보섭 전문가
강원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일란성 쌍둥이가 지문도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아무리 유전적으로 일치하는 일란성 쌍둥이라도 지문은 다르게 생겼는데, 이는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양수의 밀도나 순환, 영양 공급, 산소 공급 등의 미세한 차이로 인해 피부 형성 과정에서 지문의 차이가 생기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뇌가 쓰는 에너지는 무엇인가요???
우리 몸의 세포들은 다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데요, 뇌세포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포도당을 대사시켜 뇌는 뉴런들 사이의 전기 화학적 신호 전달, 신경 전달물질의 합성, 이온 펌프의 작동 등 뇌의 다양한 기능을 유지하는데에 사용합니다. 참고로 뇌는 주요한 활동기관이기에 우리 몸의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20% 가량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요즘 하늘을 뒤덮은 벌레 이름이 뭔가요
사진상의 곤충은 러브버그라고도 불리는 검털파리로 보입니다. 우리나라엔 9종이 서식한다고 알려져 잇고 느리게 날고 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서식 환경은 위생이 좋지 않은 곳에서 썩은 식물질이나 구더기같은 것들을 먹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균이 pH 6.5~7.5 중성에서 잘 자라는 이유
세균이 중성범위에서 잘 자랄 수 밖에 없는 이유는 그 범위가 세균의 단백질과 효소들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데 가장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 세포막 자체도 중성에서 안정적이며 안/밖의 이온 농도 균형에 용이합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세균이 중성범위에서 잘 자라게 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곰팡이는 왜 하얗게 변하는 건가요??
곰팡이들은 성장 단계에 따라 하얗게 자랐다가 포자를 형성하며 색이 변하기도 하는데 포자를 형성할 때 색소물질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또 사람에게 이로운 곰팡이들은 참 많은데 대표적으로 항생제의 시초라 할 수 있는 푸른곰팡이가 있겠고 치즈나 된장 등의 발효식품에 쓰이는 여러 곰팡이들도 있겠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여성이 테스토스트론이 많이 나오면 수염이 날 수도 있나요??
테스토스테론은 남성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성에게도 적정 수준으로 존재하는데요.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너무 높아지면, 여성에게도 조모증(hirsutism)이라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조모증은 남성형 다모증의 유형인데, 특히 턱과 인중 부위에 굵은 털이 과도하게 자라는 증상입니다. 따라서 테스토스테론 분비 과잉으로 여성도 수염이 자랄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소장에도 괄약근이 있나요?????
소장에도 괄약근과 같은 역할을 하는 회맹판(Ileocecal valve)이라고 하는 근육이 있습니다. 이 근육은 소장과 대장의 연결부에 있으며 대장의 내용물이 소장으로 역류하지 못하게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내 몸에서 분비되고 있는 호르몬이 무엇인지 알 수 있나여??
아직까지는 인바디마냥 어떤 한 번의 시도로 전체 호르몬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있지는 않지만 비교적 최근에는 피부에 센서를 부착하여 인슐린이나 코르티솔 등의 특정 호르몬 수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자나 곰 등 동물도 치매에 걸리나요?
인간뿐 아니라 어느정도 지능을 가진 영장류나 돌고래, 고래 등은 나이가 들수록 인지능력 저하, 기억력 상실, 정신 착란 등의 증상이 관찰되는데, 알츠하이머병과 유사한 뇌 병리 현상때문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능이 높다고 치매 발병 확률이 높아지는지의 상관관계는 아직까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지능이 높을수록 위험이 높다는 결과가 있는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지능과 무관하다는 결론이 나오기도 해서 아직까진 학계에서도 지능수준과 치매확률의 상관관계에 대해 명확히 결단내리진 못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이오 분야에서 API는 무슨 뜻인가요
바이오 분야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말하는데, 쉽게 말해 서로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대화할 수 있게 해주는 규약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바이오 분야에서는 DNA, 단백질 등의 데이터가 서로 다른 체계로 여러 프로그램에 분산되어 있습니다. API는 이런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직접 데이터 하나하나 풀어낼 필요없이 API 규칙만 따라 특정 염기서열을 검색하거나,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등 원하는 데이터에 접근하고 분석할 수 있는 것입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