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나이가 많이 들어도 왼손을 많이 쓰면 우뇌가 발달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나이가 많이 들어도 왼손을 많이 사용하면 우뇌가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습니다. 뇌는 가소성이 있어 지속적인 자극과 활동에 의해 변화할 수 있습니다. 왼손 사용은 오른손 사용에 비해 우뇌를 더 많이 활용하게 되므로, 나이가 들어서도 왼손 사용을 지속한다면 우뇌 영역의 신경회로와 연결성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공간 지각력, 직관력, 창의력 등 우뇌와 관련된 기능들의 발달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지속성이기때문에 우뇌 발달을 위해서는 왼손을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Q. 운동후 운동한 부위에 휴식을 48시간 해야한다고 하는데,,,이게 과학적으로 증명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근력 운동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근력 운동 부위를 48시간 휴식시켜야 하는 이유는 근육의 회복과 성장을 위해서입니다. 근력 운동 시 근육은 미세한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는 근육 단백질 합성과 근육 재생 과정을 촉발합니다. 이 과정에서 영양분과 에너지가 소모되며, 48시간의 휴식기는 근육이 이를 보충하고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합니다. 또 성장호르몬,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등의 호르몬 분비가 이 기간에 최고조에 이르러 근육 단백질 합성을 최대화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인간은 화성에서 어떻게 살 수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적으로 볼 때 인간이 화성에서 살기는 상당히 어렵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일단 화성의 환경은 지구와 매우 다르기때문에 생존을 위한 많은 도전과제가 있습니다. 화성에는 대기가 희박하고 온도가 매우 낮으며, 물과 산소, 식량 등의 자원이 부족합니다. 그러나 우주 기술이 발전하고 화성에 유인 기지를 건설한다면, 인공 대기와 가압 생활 공간, 자원 재활용 시스템 등을 통해 사람의 거주가 가능해질 수도 있습니다. 또 화성 토양에서 식량을 기르고 물과 산소를 추출하는 기술 등이 개발된다면 장기적인 정착 생활도 가능해질 겁니다. 그러나 아직은 많은 과학기술적 진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질량이 큰 행성에 가까울수록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질량이 큰 행성에서 시간이 느려지는 현상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데요질량이 큰 천체일수록 그 주변의 시공간이 더 휘어지게 됩니다. 시간은 이렇게 휘어진 시공간 안에서 진행되므로, 강력한 중력장 속에 있을수록 시간의 진행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질량이 큰 행성의 강한 중력장 안에서는 똑같은 시간이 지날 때 외부 관측자가 측정한 시간보다 더 적게 가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 시간 팽창 또는 지연 효과라고 하며, 블랙홀 주변에서 가장 극단적으로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