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 중간선거 하는 이유, 영향, 효과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이 중간선거를 하는 이유는, 대통령 임기와 별개로 의회 권력을 견제하고 민심을 다시 반영하기 위해서입니다. 상원 일부와 하원의 전원을 다시 뽑는 이 선거에서 집권당이 의석을 잃으면, 이후 2년간 입법이 거의 마비되다시피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실제로는 ‘대통령 중간 평가처럼 작용하고, 정책 방향이 크게 바뀌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대통령제와 국회의원 선거가 대부분 따로 구분돼 있지 않고, 임기 4년의 국회의원 선거가 한 번으로 끝나기 때문에 미국처럼 중간에 민심을 다시 반영할 기회가 제도적으로 마련돼 있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중간선거 같은 정치적 리셋 기능이 없다는 점이 우리 정치의 장단점 중 하나로 자주 언급되기도 합니다.’
Q. 경제 공부를 시작하고 싶은데 너무 막연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처음엔 다 막연한 게 당연합니다. 경제는 숫자도 많고, 용어도 어렵고, 방향성도 애매할 때가 많거든요. 단어 외우듯 하면 금방 날아가니까, 제일 좋은 방법은 ‘이게 내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랑 연결해서 보는 겁니다. 요즘 뉴스에 자주 나오는 물가, 금리, 환율 같은 걸 중심으로 보면서 궁금한 거 생기면 하나씩 파고드는 식이 좋아요. 책을 읽고 싶다면, 처음부터 거시경제 같은 딱딱한 이론서보단, 경제기사 쉽게 풀어주는 책이나, 실생활 중심으로 쓴 입문서가 훨씬 낫습니다. 경제는 단기간에 마스터하긴 어려워도, 자주 보고 질문하고 연결해서 생각하다 보면 어느 순간 흐름이 잡힙니다. 너무 완벽하게 시작하려고 하지 말고, 궁금한 데서 천천히 시작하시면 됩니다.
Q. 네이버 커머스가 많이 성장했는데 리스크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성장률만 보면 굉장히 좋은 성적표처럼 보이지만, 네이버 커머스도 리스크가 없진 않습니다. 입점 기반 수수료 모델이라 구조적으로는 재고 부담이 적지만, 플랫폼 충성도보다는 ‘가격에 의존하는 이용자 비중이 높아 가격경쟁에 계속 시달릴 수밖에 없습니다. 또 스마트스토어처럼 누구나 판매자가 되는 구조는 품질관리나 소비자 CS 문제가 쌓이면 결국 플랫폼 신뢰로 직격탄이 될 수 있습니다. 큐텐 사태처럼 단기 실적에 의존하거나 공급망 불안정이 커지면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점에서, 네이버도 커머스 사업을 ‘기술 기반 물류 경쟁력으로 바꿔놓지 않으면, 외형 성장이 오래 못 갈 수도 있다고 봅니다.
Q. 국내 에이아이 경쟁이 격화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요즘 AI 관련 뉴스 보면 진짜 숨가쁘게 돌아가는 느낌입니다. 네이버든 카카오든 왜 이렇게 AI에 목숨 거느냐고 보면, 결국 생존이 걸려 있어서 그렇습니다. 글로벌 기업들, 특히 미국 쪽 빅테크들이 AI 기반 서비스로 판을 다 바꾸고 있는데, 우리나라 기업들도 여기서 밀리면 아예 존재감이 없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큽니다. 검색이든 메신저든 쇼핑이든, AI가 핵심에 들어가야 이용자 경험을 잡고, 그래야 수익모델도 살릴 수 있으니까요. 예전처럼 콘텐츠나 플랫폼만으론 차별화가 안 되니까, 이제는 'AI를 얼마나 잘 쓰냐가 경쟁력의 중심이 된 상황입니다. 한마디로 지금은 AI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수단이 된 겁니다.'
Q. 북한 한국평화 제안 완전히 거절한이유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화해가 당연히 좋지 않냐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북한 입장에서는 그렇게 단순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김여정이 밝힌 입장은, 우리 정부의 대화 제안이 진정성 없고 정치적 쇼로 보인다는 판단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특히 미국과의 연합훈련이나 대북 제재 기조는 유지하면서 말로만 평화를 말한다는 불신이 뿌리 깊고요. 북한은 체제 안전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의 평화 제안을 오히려 내부 분열을 노린 압박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어서, 우리 쪽이 선의를 갖고 다가가더라도 그걸 전략적으로 차단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겁니다. 그래서 지금은 화해보단 자립과 대결 노선을 더 밀어붙이는 쪽으로 가고 있는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