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코스피가 관세 악재에도 계속 상승하고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관세 이슈였지만, 이미 시장엔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는 흐름입니다. 나쁜 뉴스가 나올 것 같으면 미리 가격에 반영된 경우가 많아 실제 발표 때는 오히려 안도 매수로 이어지기도 합니다외국인, 기관뿐 아니라 개인 투자자들까지 ‘매수 강도가 상당히 세다는 것도 중요합니다. 대량 매수 없이도 시장이 오르는 현상이 과거에 비해 자주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그리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조선방산금융주 등 실적 모멘텀이 있는 주도주들이 증시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대표 기업들의 호실적이나 대형 수주 소식이 힘을 보태고 있는것으로 보여집니다.
Q. lg cns주식은 앞으로 어떻게될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lg cns는 최근 기술과 수급, 정책 기대감이 겹치면서 반등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디지털 화폐 실험 프로젝트 한강에서 핵심 기술 플랫폼 역할을 맡으면서 cbdc 수혜주로 부상했고, ai·클라우드 사업에서도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연중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 특히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이어지며 거래량도 크게 늘었고, 시장은 단순 테마주가 아닌 구조적 성장기업으로 재평가하는 분위기입니다 증권사 리포트 기준으로는 평균 목표가가 6만7천원에서 8만5천원까지 제시되며, 일부에선 최대 10만원대도 가능하다고 보는 전망도 있습니다 . 단기적으로는 8만원 선이 첫 번째 저항으로 보고 있고, 중기적으로는 9만원 대 이상도 열려 있는 모습입니다.주의할 점이라면, 8월 이후 맥쿼리pe 등의 보호예수 해제에 따른 구주 매도 압력이 예상된다는 것인데, 이 부분이 실제로 이뤄지면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Q. 코인거래소와 은행이 협업하는 이유는 무엇이죠?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은행이 코인거래소랑 손잡는 이유는 의외로 실용적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실명확인 입출금 계좌 때문인데요, 우리나라에선 2018년 이후 특정금융정보법 때문에 코인거래소가 고객에게 실명계좌를 제공하려면 반드시 시중은행이랑 연계해야 합니다. 그러니까 은행은 거래소 고객을 대신 심사하고, 입출금 통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겁니다. 당연히 여기서 수수료 수익이 발생하고, 계좌 수 확대 효과도 노릴 수 있어서 마냥 손해보는 구조는 아닙니다. 물론 은행 입장에선 자금세탁 같은 리스크가 있어 꺼리는 분위기도 있었지만, 요즘은 거래소들이 AML 기준을 맞추면서 점점 제도권 금융 파트너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흐름입니다. 요약하면 수익도 있고, 제도상 반드시 필요한 구조라서 협업이 이뤄지는 거라고 보면 됩니다.
Q. 배당금 비과세 부분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배당금에 세금이 일부만 붙고 전액이 과세되지 않은 경우는, 그 안에 비과세 항목이 섞여 있는 구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공모리츠나 상장 인프라펀드에서 나오는 배당금, 또는 일정 요건을 충족한 벤처기업 투자에 따른 배당은 소득세 비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걸 확인하려면 배당을 지급한 회사나 ETF가 제공하는 배당내역서 또는 투자자 보고서를 봐야 하고요, 증권사 앱에서는 배당금 입금 상세내역에서 과세 여부가 나뉘어 표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세청 홈택스에 들어가 종합소득내역 조회 메뉴를 통해 배당소득 항목별 과세비과세 구분도 가능하니, 연말정산 전에 한번쯤 확인해두는 게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