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윤지은 전문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7일 전 작성 됨
Q.
미국 비자 발급에 대한 보증금 부과까지..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진짜 이번 조치는 좀 세긴 합니다. 트럼프 쪽에서 밀어붙이는 방식 보면 상징성이 크다고 느껴집니다. 그냥 초과 체류율 높은 국가들한테 메시지를 보내는 느낌입니다. 너네 국민은 못 믿겠으니까 돈 맡기고 와라 이런 식입니다. 관광이나 출장으로 갔다가 돌아오는 게 당연한 흐름인데 그런 기본 신뢰를 깨버리는 거라 외교적으로도 부담이 큽니다. 우리나라가 직접 대상은 아닐 수도 있지만 미국 입국 자체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커지는 건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실제로 시행되면 비용보다 이미지 타격이 더 클 수도 있습니다.
자산관리
7일 전 작성 됨
Q.
기업들의 실적발표, 예상치와 다른 경우도 많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보통은 말씀하신 것처럼 기업이 실적을 발표하기 전에 시장에서 컨센서스라고 불리는 예상치가 먼저 나옵니다. 이건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예측한 평균값 정도로 보면 됩니다. 그런데 실제 실적이 이 예상치와 얼마나 차이나는지에 따라 주가가 크게 움직이기도 합니다. 플러스 마이너스 5퍼센트 안에서 움직이면 시장 반응은 그럭저럭인데 10퍼센트 이상 벗어나면 서프라이즈나 쇼크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업마다 기준은 조금씩 다른데 통상적으로는 그 정도로 보면 무난합니다.
경제동향
7일 전 작성 됨
Q.
한국 이직율 6%로 하락 노동시장 경직화 일까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이직률이 낮아졌다고 해서 무조건 노동시장이 경직됐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숫자만 보면 이동이 줄어든 건 맞지만 그 안에 여러 요인이 섞여 있을 수 있습니다. 일단 경기 불확실성 때문에 사람들이 이직을 꺼렸을 가능성이 있고 기업들도 채용을 줄이면서 이직 자체가 어려워졌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제조업처럼 전통산업 비중이 큰 업종에서는 기존 인력이 고착되는 경향도 있고요. 반대로 보면 안정성이 높아졌다는 해석도 나올 수 있어서 단순히 경직화라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 흐름상 조심스러운 분위기가 만든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경제정책
7일 전 작성 됨
Q.
요즘 대주주 양도세 기준이 50억, 10억으로 변경한다고 하는데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이 얘기 최근에 많이 나옵니다. 기존에는 주식 보유액이 50억 이상이면 대주주로 보고 양도세를 부과했는데 이걸 10억으로 낮추자는 겁니다. 만약 기준이 10억으로 바뀌면 해당 구간에 있는 투자자도 양도차익에 대해 기본세율 20퍼센트에서 최대 25퍼센트까지 내야 합니다. 그런데 이게 시장에는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연말마다 매도 물량 쏟아지거나 거래 회피 움직임이 나올 수 있다는 겁니다. 중대형 투자자들 이탈도 있을 수 있어서 시장 전체로 보면 유동성 줄고 투자 위축 우려가 나오는 구조입니다. 정부는 과세 형평을 말하지만 시장에서는 자금 흐름 막힌다고 걱정하는 분위기입니다.
경제동향
7일 전 작성 됨
Q.
한국 경제 하반기 반등 전망은 어떤가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하반기 반등이 쉽진 않아 보입니다. 건설이 계속 안 좋고 수출도 반짝 회복 후 다시 둔화 흐름이라 전체적인 회복세가 강하진 않습니다. 특히 글로벌 긴축이 길어지고 있어서 민간소비나 기업투자 쪽도 위축된 상태 그대로입니다. 한국은행이나 kdi 전망은 대체로 연간 2퍼센트 초반 예상하고 있고 하반기 성장률도 상반기보단 나아질 수는 있어도 반등이라 부를 정도는 아닐 거라는 말이 많습니다. 수출이 다시 살아나거나 건설투자가 전환되지 않는 이상은 잠깐 숨 고르는 정도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