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강아지가 비만인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BCS(Body Condition Scoring)이라는 표준이 있으나, 공인기관에서 인증되어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구글 등에서 dog, canine BCS를 검색해보시면 해당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물론 BCS를 참조하시는 것도 좋지만, 비전공자 입장에선 BCS도 막연한 지표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이 때, 강아지 비만의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은 두 가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1) 강아지의 가슴높이가 배의 높이와 동일한가?2) 강아지의 가슴을 만졌을 때, 갈비뼈가 만져지지 않는가?두 가지가 모두 YES라면 비만입니다. 강아지가 바로 서있을때 가슴이 배에 비해 아래로 와있어야 합니다. 추가로, 갈비뼈가 보일정도로 만져질 경우는 마른 체형이나, 촉진했을때 갈비뼈를 만져지는 듯한 느낌이 쉽게 들 정도만 되어있으면 정상적인 체중으로 진단합니다. 강아지는 품종견이라 할 지라도 개체별로 체고와 체급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표준화 된 체중은 없습니다. 해당 내용을 판단하시고, 1), 2)가 모두 우리 아이에게 해당한다면 사료를 적게 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당연히, 간식은 소화가 더욱 잘되고 기호성이 좋기 때문에 사료보다도 멀리하셔야 하시구요.
Q. 여덟 살 강아지 예방 접종은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예방접종 종류는 어릴때나 나이를 먹었을 때나 종류가 달라지진 않습니다. 그렇지만 강아지가 접종에 알레르기가 있거나, 지병이 있어 예방접종을 맞기 어려운 상황이면 수의사 선생님의 판단하에 접종 가짓수를 줄일 수는 있지요.백신 접종 중 가장 중요한 건 치사율이 높은 감염병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종합예방접종이고, 그 다음으로는 산책 중 사람이나 다른 강아지를 물었을 때 불미스러운 일을 방지하고, 공중보건 목적으로 맞게되는 광견병입니다. 기타 접종의 경우는 감염이 될 경우 고생스럽긴 하나 치명률이 낮은 편이고, 감염이 되었다 하더라도 건강한 성견의 일차면역으로 초동 방어가 잘 되는 경우가 많아 경우에 따라선 수의사 선생님이 접종을 패스하거나 연기하기도 하십니다.그 외 백신과 관계없이 진균감염에 취약하거나, 알레르기로 인해 피부병이 자주 날 경우, 지속시간이 오래가는 일종의 접종과 비슷한 주사가 동물병원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니 만약 해당 질환으로 고민하고 계시다면, 주치 수의사 선생님과 상담 후 결정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