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플에서 전자출판물 판매할경우 매출액은 어떻게 잡아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민기 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구글 앱스토어 매출 조회하기 a. 구글 플레이 로그인 (https://play.google.com/apps/publish)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 합니다. b. 구글 플레이 보고서 확인 [보고서 다운로드] > [재무] c. 엑셀 파일 다운로드 a. 매출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 하나의 상품에 대하여 3행 (Google fee, Charge, Tax)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Google fee : 구글이 과금하는 수수료 입니다. (상품 판매금액의 30%) ② Charge : 소비자가 결제한 금액. 개발자가 받게되는 수익금은 Charge – Google fee입니다. ③ Tax : VAT 10%로, Google fee 계산에서 제외되며 국내 거주 개발자는 부가세로 납부하셔야 합니다. d. 필수 항목 8가지 선택 아래 내용을 반드시 선택하여 엑셀파일로 자비스에 제출
Q. 주식투자 관련 세금에 대해 궁금한 점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민기 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증권거래세,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입니다. 먼저 증권거래세는 제가 주식을 사고 팔 때 내는 세금입니다. 거래를 할 때마다 총 금액의 0.25%를 내는 것이라서 사실 돈을 벌지 않고 주식을 샀다 팔았다 반복을 많이 하면 증권거래세가 그만큼 늘어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기업들이 1년 간 벌어들인 이익금을 주주들에게 주총결의를 통해서 나눠주는데, 이것을 배당이라고 합니다. 배당의 경우는 15.4% 세율이 적용 되서 배당소득세가 나오는데. 앞서 증권거래세와 배당소득세는 개인이 따로 신고납부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 이유가 증권사에서 알아서 다 해주고 있거든요. 세후 금액을 각각 고객들에게 입금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로 신경을 안써도 되는 부분입니다.
Q. 회사가 폐업한 경우, 연말정산 환급금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민기 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폐업하여 퇴직하게 된 경우 폐업하여 퇴직하는 경우, 퇴직하는 달에 근무지에서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을 받아두셔야합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을 보관하고 계시다가, 재취업하는 근무지에 제출하셔서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하셔야 합니다.■ 이미 폐업해 버린 경우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받지 못했는데 이미 폐업해 버린 경우에는, 폐업한 전직장의 세무대리인 또는 가까운 세무서에 가셔서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을 수령하셔야 합니다.■ 세무서에서도 처리해주지 않는 경우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받는 방도가 없으시다면, 우선적으로 재취업한 근무지에서 받은 금액만 가지고 연말정산을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연말정산영수증을 받아두시거나, 근로소득공제신고서에 관련금액들을 기록해 둡니다. (영수증을 잘 가지고 계셔야 나중에 다시 신고하실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후, 5월 종합소득세확정신고>시 국세청에서 조회하여 합산 신고하시면 됩니다. 국세청에서 소득 누락으로 추징한다고 통보가 오기도 합니다. 이때 받으신 서류로 종합소득세신고시에 함께 신고하시면 됩니다. ** 기본적으로는 퇴직 시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받아두셔야 합니다. 부득이하게 받지 못한 경우에만, 5월 종합소득세 신고시 세무서에서 조회가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