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하 전문가입니다.
이상하 전문가
중원 노무법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휴일·휴가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몸이 안좋아서 질병휴직을 하는것도 법적으로 인정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법적으로 인정되는 부분은 아닙니다.회사 내 취업규칙 등에서 질병으로 인한 휴직을 규정하고 있다면 이에 따르게 됩니다.만약 산재처리한다면 산재처리 기간은 출근한 기간으로 봅니다참고 바랍니다.
산업재해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산재신청후에 재가 업무상 사고를 증명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근로자가 산재 신청 후 재해와 업무 사이의 상당인과관계를 입증해야 합니다. 이 과정이 어려우므로 보통 노무사를 선임합니다.참고 바랍니다.
임금·급여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알바하다 그만두면 알바비는 언제 받는게 맞아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원칙적으로 퇴사 후 금품청산은 퇴사일 이후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합니다. 참고 바랍니다.
근로계약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아르바이트 그만 둘때 그만두기 얼마전에 이야기를 하는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알바생은 퇴사 이전에 통보해야 한다는 법규정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근로계약서에서 정한 퇴사 통보 기한이 있다면 이를 지키는 게 좋지만, 지키지 않더라도 계약위반의 책임만 부담할 뿐 법위반은 아닙니다 통상 한 달 내외로 통보하기는 합니다.참고 바랍니다.
임금·급여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퇴직 통보일과 퇴직일자와의 기간이 짧을경우 인수인계 미흡으로인해 퇴직금 받는데 문제의 소지가 발생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하 노무사입니다.인수인계 여부는 퇴직금 지급과 무관합니다. 퇴사 통보일 이후 이를 수리하여 퇴사일이 정해졌다면 그 퇴사일까지만 출근한다면 퇴직금에는 영향이 없어야 합니다.참고 바랍니다.
521
522
523
524
5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