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물고기는 왜 물 밖에서 살 수 없고, 인간은 물속에서 숨을 쉴 수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물고기의경우 물속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이 가능한 아가미라는 조직덕분에 물속에서 숨을쉴수있습니다.하지만 이 아가미가 공기중에서는 작동하지 않아 밖에서는 숨을쉴수가 없습니다.인간은 반대로 폐라는 기관이있어 공기중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가능한데,폐는 물속에서는 작동하지 않기때문에 물속에서는 숨을쉴수없는것입니다.추가로, 폐라는기관은 과거 물고기의 부레라는 기관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있어폐가 더 나중에 생긴 호흡기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의 피부는 어떻게 상처를 치유하고 새롭게 재생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첫번째로 지혈단계에서 혈관이 수축하고 혈소판이 상처부위로 모입니다.또한 혈장단백질의 일부인 피브린이 그물망을 만듭니다.이후 염증단계가 시작되는데, 손상부위에 백혈구가 몰려들고성장인자를 분비하도록 만듭니다.이후 증식단게에서 콜라겐을 생성하고 각질형성세포가 상피화되면서피부표면층을 덮게됩니다.마지막으로 콜라겐들을 재배열하면서 조직을 유연하게 만들어주고필요없는 혈관들이 제거되면서 조직이 안정화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을 수 있지만, 동물은 그럴 수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식물의경우 세포안에 엽록소가 들어있어 광합성이가능하지만동물은 엽록소가 들어있지 않습니다.엽록소에서는 태양에너지를받아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물을이용해 포도당을 만들어내는 역할을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노화를 일으키는 가설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노화와 관련한 가설로는 유전자에의해 노화가 자연스럽게 일어나도록 설계되어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이 가설에따르면 세포의 세포분열횟수가 한정적이고 분열속도가 느리다는점을 예로들수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초식동물의 덩치 크기와 서식 환경, 포식자의 종류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포식자가 다양하고 많은경우, 또는 다른 초식동물 경쟁자가 많은경우 육지에서는 몸집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고합니다. 먹이경쟁과 생존경쟁을 위해 몸집을 키운 종만이 현재까지 살아있을 수 있었기때문입니다.여기서 중요한것은 커진 덩치을 유지할수있을만큼 많은 먹이가 있어야한다는 점입니다.그래서 주로 초원이나 숲이 발달한 곳에서 이런특성이 발생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철새의 이주 본능은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유전적인 부분과 후천적인 부분이 같이 작용합니다.먼저 유전적으로는 아주 오래전부터 특정온도나 계절이되면 더 살기좋은 온도를 찾아 이주를하고자하는 본능이 발탈했다고합니다. 과거에 해당행동을 함으로써 생존률을 크게 늘렸을 가능성이 있다고합니다.후천적인 모습은 굳이 날이 온화하고 날아가지 않아도 될 상황이되면 가지않는개체들도 많다는것입니다.즉, 본능은남아있어도 환경이맞으면 굳이 이주를 하지 않을수있다는것입니다.본능이 남아있을때 이주를할만한 환경이 도래해야 본능을 발휘하여 날아간다는 의미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벌꿀오소리 같은 경우 같은 독에는 중독이 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벌꿀오소리는 모든 독에 내성이있는것은 아니고,주로 뱀이나 벌의 독에 내성이 있습니다.오랜세대에걸쳐 해당 독에 계속해서 노출되면서이 독을 분해할 수있는 효소를 몸에지녀 내성이 만들어졌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물속에서 사는 물고기만 비늘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연체동물의경우 몸 전체가 유연하여 팔다리를 이용해 적을 방어할수있지만,물고기는 그렇지않아 피부자체에서 보호막이 필요합니다.그래서 물고기는 비늘을 발달시켰고, 이 비늘은 외부 외력에의한 손상과미생물의 침입등을 막을수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겨울에도 자라나는 식물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겨울에는 일조량이 적고 온도가낮아 생장을 폭발적으로하기는어렵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꽃을피우는 종들이 있는데,동백꽃이나 매화, 겨울국화, 서양매화등이 그러합니다.이들은 겨울에도 꽃이 활짝피도록 유전정보가 설정되어있고,그 유전정보를 억제시키는 히스톤단백질이 낮은온도에서 풀어진다는특징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모든 세포에는 염색체가 꼭 포함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꼭그렇지많은 않습니다.예를들어 적혈구의경우 세포내에 핵이라는 세포소기관이 없기때문에원래라면 핵 안에있어야할 염색체가 포함되어있지 않습니다.다만, 핵을가진 대부분의 세포들은 염색체를 갖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