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사람처럼 색깔을 구분할 수 있는 눈을 가지고 있는 동물에는 어떤 동물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개의경우 사람과는다르게 두가지의 색 수용체가있어 사람보다는 더 적은색을 인지할수있습니다.또한 나비는 사람처럼 적색녹색청생을 모두 인식하지만, 이외에도 다른 수용체도있어 우리가 볼수없는 자외선영역까지도 감지할수있다고합니다.그래서 꽃의색이나 패턴을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꽃의 꿀을찾는데시각적으로 유리한정보를 얻을수있다고합니다.즉, 색을 중요하게 여기는 동물일수록 색 구분을 더 잘하는 특성이 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머리카락은 왜 점점 흰머리가 되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머리카락이 자라나오면서 멜라닌색소를 같이 갖고나와야 검은머리가 되는데색소가 모자라거나 없으면 그냥 그대로나와서 하얀색머리카락이 됩니다.이 멜라닌색소는 노화나 유전적인이유로 부족해집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자연생태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동물을 굳이 꼽자면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자연생태계에서는 상태계 균형을 유지하기위한몇가지 필수 동물들이있습니다.먼저 벌이나 나비같은 꽃의 수분을 돕는 동물들입니다.두번째는 딱정벌레나 지렁이, 균류와같은 분해자들입니다.죽은 동식물들을 분해해서 흙으로 되돌리는역할을합니다.세번쨰는 플랑크톤인데, 해양생태계에서 식물의역할을 하는데광합성을해서 스스로 양분을만들고 남들의 먹이가되는 역할을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먹방유튜버들이 그만큼 먹을수 있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먹방유튜브들은 신체구조상 위의 크기가 많이 크다고합니다.또한 위장이 유연해서 늘어나는정도가 크고 소화과정도 빨리진행된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커피를 많이 마시면 왜 소변이 마려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커피를 마시면 커피안의 카페인이 이뇨작용을 일으킵니다.카페인은 신장에서 항이뇨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는데,신장이 물을 재흡수하지않고 소변으로 배출해버리도록합니다.또한 방광의근육도 자극하여 방광이 소변을 비우고싶어하는욕구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사람이 죽은 뒤에 손발톱과 머리카락이 가장 뒤에 썩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사람이 죽은후에는 손발톱과 머리카락이 다른 신체부위보다 더 오래 남아있다고합니다.이들은 케라틴이라고하는 단단하고 강한 단백질로 이루어져있고,자연분해가 어려운편입니다.그래서 미생물이나 박테리아, 곰팡이등에 의해 서서히 분해가 되긴하지만특정 미생물에만 한정되어있어 상대적으로 분해속도가 매우 느리게 진행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선인장들도 광합성을 할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선인장들도 광합성이 가능합니다.주로 줄기에서 광합성이이루어지고,잎이아닌 몸통의 초록색부분에서 광합성이 이루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왜 모든 생명들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생명을유지하기위해 세포가 분열하는 작업은한계가 있기때문입니다.특정횟수이상 세포가 분열하면 더이상 분열하지못하고신체 전반적으로 재생작업이 느려지면서노화되는속도보다 느려집니다.이로인해 신체 기능이상이 발생하며 죽음에이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벌레들은 어째서 빛을 쫓아 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벌레들은 본능적으로 광택성이라고하는것을 갖고있습니다.먼저 자연에서의 빛은 일정한각도로 빛을 쬐어주기때문 에길잡이의 역할을해줍니다.또한 번식을위해서 특정 빛의 파장을 통해 짝을 찾기도하는데주변 인공조명이 이와 비슷한 파장으로 인식되서 모여드는 경우도 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곤충 중에서 가장 오래 사는 곤충은 어떤 곤충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곤충중에서 가장 오래사는종은 여왕개미입니다.여왕개미는 최대 50년까지도 살고 15년에서 30년정도도 꽤 많다고합니다.집단내에서 계속되는 보호를받기때문에 이처럼 오래살 수 있습니다.이와다르게 매미는 17년정도 지하에서 유충상태로 살다가성충이되어 번식한 후 금방죽습니다.감사합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