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장내 미생물과 건강과의 관계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장내미생물은 장벽근처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기도하여 장으로침투하려는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해주는 역할을합니다.또한 인간이소화할수없는 물질도 일부 소화시켜 소화과정을 도와주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뇌의 부위별 담당 기능이 어떻게 다른 것인지는 어떤 실험을 통해 밝힌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사람머리에 신경신호를 측정할수있는 캡을 씌우고 특정행동이나 생각을 유도했을때 특정부위의 신경신호활성도를 관측하는방식을 주로이용합니다.신경신호는 보통 EEG라고하고 EEG뇌파측정방식을 이용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흰머리는 왜 나는건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흰머리는 영양불균형이나 노화에의해 멜라닌색소가 합성이되지않거나 모자라며 발생합니다.머리카락이 자라나오면서 케라틴질에 멜라닌색소를 섞어 갖고올라오지만, 이 색소가 모자라면 케라틴질만 자라올라오며 흰색머리카락이 나오는것입니다.사실 케라틴질은 흰색보다는 반투명한모습이라 빛이 이를 투과하며 산란되는색이 하얗게보입니다.가까이서 흰머리를 관측하면 투명한머리카락임을 알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6일 작성 됨
Q.
식물이 내뿜는 피톤치드? 이게 건강에 엄청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피톤치드는 식물이 벌레나 병원체를 죽이거나 쫒아내기위해서 만드는 자연살충제이자 항생제입니다.사람에게 직접좋지는않고 간접적으로 벌레를 쫒거나 항균작용을하는 스프레이형식으로 간접적인 이점을 얻을수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6일 작성 됨
Q.
반딧불이는 어떻게 스스로 빛을 만들어 낼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는 루시페린이라고하는 물질을 만들어내는데, 이 루시페린이 산소와 반응하면서 형광을나타냅니다.산화반응이 일어나면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빛의형태로 나타나는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6일 작성 됨
Q.
식물의 광합성 과정에서 중요한 화학 반응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광합성과정에서는 먼저 이산화탄소와 물이 태양에너지에의해 산소와 포도당으로 변화하는 반응이 일어납니다.이 반응이후 포도당이 이동하여 대사되는 과정을 거쳐 에너지운반체를 만들어내는 반응이 시작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6일 작성 됨
Q.
식물의 개화 주기는 어떻게 조절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꽃이피는시기는 온도에따라서 결정됩니다.꽃마다 꽃을피우는 유전자가 존재하고,이 유전자는 히스톤단백질을 감싸고있습니다.히스톤단백질에 감싸져있을때에는유전자를 읽을수없어 꽃을피우지못하지만적정온도가되면 이 단백질이 풀려나면서 유전자를 읽고 꽃을피우는 단백질을 만들어냅니다.이런식으로 저마다의 온도에따라 변화하는 단백질덕분에 꽃이 피는시기의 차이가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6일 작성 됨
Q.
인간에 비해 개의 후각이 좋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개는 인간보다 더다양한 후각세포와 후각수용체를 갖고있고 이 세포의 양도 수십수백배많으며, 촘촘하고 넓게 위치하고있습니다.결론적으로 약2만배이상 인간보다 예민한 후각을 갖게된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6일 작성 됨
Q.
사람의 DNA로 알수있는 고유정보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Dna로는 그 사람의 외모특성,부모로부터 얻은특성, 질병발생률까지도알아낼수있습니다.개인정보의 끝판왕이라고할수있습니다.그사람의 가계도나 혈통까지도 알아낼수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6일 작성 됨
Q.
유전자와 염색체는 어떻게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유전자라는 유전정보가 염색체안에 들어있습니다.염색체안에는 유전정보가아닌 물질들도 함께구성되어 모여있을수있게 붙잡아두거나 유전정보간 간격을 만들어 구분할수있도록 하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