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달맞이꽃은 왜 저녁에만 피는 가요.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달맞이꽃은 다른꽃과는 다르게 밤에피는 특징이있는데, 그 이유는 달맞이꽃의 수분을 돕는 곤충들과 관계때문입니다.우선 다른 대부분의꽃은 햇빛과 열에 반응하여 낮에피는 경향이있습니다. 이렇게되면 낮시간에만 꽃을피워 낮에 수분을 돕는 곤충들의 도움을 받아야하지만, 다른 꽃들과 경쟁하여 곤충들을 유인해야합니다.하지만 달맞이꽃은 밤에 꽃을 피움으로써 다른 꽃들과의 경쟁을 대폭 감소시키고 밤에 활동하는 곤충들의 도움을받아 서분을 하는것입니다.그래서 보통 밤에활동하는 나방과같은 곤충들의 도움을받아 생식활동을 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총알이 심장을 관통해 죽게 된다면 인간은 어느 정도의 고통을 느끼면서 죽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총알이 심장을 관통하는경우 고통의정도나 지속시간은 여러요인에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합니다.심장은 우선 인체를 유지하는데 가장중요한 장기 중 하나라서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뇌로가는 산소가 부족해져 의식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고통은 즉각적이고 강렬하겠지만 지속시간은 비교적 짧을 수 있다고 합니다.먼저 빠른 속도의 총알은 신체를 관통하는 시간이 매우짧아 고통을 느낄시간이 짧을 수 있다고합니다.또한 심장만 관통하는것이아닌 다른 장기들도 함께 관통해서 지나갈 수 있기에 이에따른 고통이 추가될것이라고 합니다.예를들어 폐와같은 장기를 같이 손상시킨다면 호흡곤란과같은 고통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몇초내에 의식을 잃기때문에 그 몇초동안의 고통만이 지속될것입니다.고통지수의경우 의학적으로 10점만점에서 8~9점정도로 평가된다고합니다.보통 출산의 고통이 7~10점인것과 신경통증이 9~10점, 화상이 8~10점, 신장결석이 8~9점인것과 비교하면 매우 강한고통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수온과 물고기의 크기에는 어떤 연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물고기는 변온동물이기 때문에 주변 수온에의해 큰 영향을 받습니다.먼저 대사속도의 차이가 나는데 물이 따듯해질수록 물고기의 신진대사 속도가 빨라지고 더 많은에너지를 소모하며, 몸의 가속노화가 진행됩니다.반대로 수온이 낮아지면 에너지소모와 먹이의 섭취정도가 줄어들고 활동량이 감소합니다.이러한 관점에서 낮은 수온에서 사는 물고기들의 크기가 더 클 가능성이 높습니다.왜냐하면 차가운물에서는 물고기의 에너지소비가 적어지고 더 오랜시간동안 천천히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극지방이나 깊은 바다와같은 추운환경에사는 물고기들이 일반적으로 더 큰 몸집을 가진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또한 물고기뿐아니라 베르그만의 법칙에따라 추운지역에 사는 개체들이 더 커다란 경향이 있는데, 더 큰몸집을통해 체온을 유지하는데 유리한 신체구조를 구축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법칙을 베르그만의 법칙이라고도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다람쥐 겨울잠 자는 시기가 언제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다람쥐는 보통 겨울잠을 잘 자지는 않고 겨울철 활동울 줄이고 저장한 먹이를 먹으면서 지낸다고 합니다.겨울이 오기전 가을동안에 먹이를 열심히 모아서 나무구멍속이나 땅속에 저장해두고 추운겨울동안 일정주기마다 깨어나서 그 먹이를 먹으면서 에너지를 유지한다고 합니다.특히 매우 추운날에는 아예 둥지밖에서 나가지않고 그안에서 뒹굴거리며 숨어있습니다. 그래서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과같이 혼동될수는 있지만 다른동물들처럼 완전히 길게 겨울잠을 자는것은 아니라고 합니다.보통 겨울이 시작되는 11월이나 12월부터 2월~3월까지 활동으 크게 줄어든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티라노 사우르스가 개보다 느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선 티라노사우르는 무게만해도 약 9톤에 달할것으로 계산되고있고 이렇게 큰 몸집은 뼈와근육에 가해지는 압력과 힘이 매우 크기떄문에 빠르게 달리는것 자체가 어려웠다고 합니다.그래서 몸이 클수록 달리는속도를 빠르게하거나 몸의 움직임역시 크게 하기가 어렵습니다.그리고 에너지 효율측면에서 빠르게 달리기는 어렵고 오히려 천천히 걸어다니면서 죽은동물의 사체를 먹거나 느린대상을 사냥하는것이 더 효율적이었을것이라고 합니다.심지어 티라노사우르스는 이족보행을 한것으로 계산되기때문에 4족보행을하는 다른 동물들보다도 하체의 안정성이 좋지는 못했을것이라고 합니다.그래서 이렇게 큰몸집과 이족보행과같은 생리적인 한계로인해 속도가 제한되었고, 개와같은 민첩한 포유류보다도 느렸을것으로 추정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긍정적인 태도가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을 줄여 준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긍정적인 태도를 갖는것 자체가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이 된다고합니다. 우선 이런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어려운상황속에서도 희망을 유지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더 쉽게 만들어낸다고 합니다.이런 과정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약해지고 만성적인 스트레스로 이어질 가능성을 줄인다고 합니다.이런 스트레스 상황이 만들어지면 신체내에서는 코르티솔처럼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하는데, 이 코르티솔은 면역반응을 억제하지만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이 사이토카인에의해 만성적인 염증상태가 유발된다고 합니다.또한 면역체계과 과활성되기도하고 자가면역질환의 형태로 염증반응이 일어난다고 합니다.즉, 긍적적인 사고나 태도는 신체내의 코르티솔과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감소시키기때문에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포장마차에 섭이라고 팔던데 생긴게 홍합이랑 똑같던데 두개는 같은건데 이름을 다르게 무르는건지 아니면 생물학적으로 전혀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섭과 홍합은 둘다 이매패류, 즉 두개의 껍데기를 가진 연체동물로 분류되고 흔히말해 조개입니다.이 둘은 서로 다른종입니다.먼저 섭은 영어로 Scallop이라고 하는데 가리비과에 속하는 조개류이고, 우리나라에서는 비단가리비 또는 홍가리비와같은 이름으로 불립니다. 주로 넓쩍한 팬모양의 껍질을 갖고있습니다.홍합은 영어로 Mussel이라고 하는데 담치과에 속하는 조개입니다. 껍데기가 길쭉하고 타원형에 가깝고 진한보라색이나 검은색을 띱니다.주로 해안가 암초등에 붙어자라고 우리나라에서는 참홍합이라는 종이 잘 자랍니다.또한 섭은 식감이 부드럽고 약간 달콤한맛이있으며 특히 관자라고하는 탱탱하고 쫄깃한 질감을 가진 부분이 넓쩍하고 두꺼워서 고급해산물요리에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홍합은 약간 질긴식감이있어 찜이나 국물요리, 파스타등에 이용된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어떤 동물들이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기후변화는 일단 여러 동물들의 생태계변화, 서식지 파괴, 먹이사슬붕괴, 온도상승 등등 다양한 모습으로 동물들을 위협하고 있습니다.우선 북극곰은 빙하위에서 사냥하는 특징을 보였지만 지금은 위에 서있을 얼음이 매우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사냥방식도 바뀌어야하고 먹이감을 구하기 어려워졌다고 합니다. 그래서 시베리아와같은 육지로 올라와 서식하는 방식으로 삶을 이어나가고 있다고 합니다.또한 산호의경우 바닷물 수온증가로인해서 산호가 스트레스를 받고 색소를 잃어버리는 백화현상을 겪고있습니다.이 산호초와공생하는 다양한 바다생물들의 서식지역시 함께 사라지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또한 육지위의 생물들도 기온과 식물들의 생식이 달라지면서 함께 그 서식지 띠를 따라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원래 중위도에 살던 동물들은 점점 북쪽으로 이동하고, 저위도에 살던동물들이 중위도로 이동하는것 등을 말합니다.주로 온도에 민감하거나 특수한 환경에서 살아가던 동물들의 피해가 극심하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피는 빨간색인데 혈관은 왜 초록색으로 보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피부를 통해 바라보는 혈관의 모습이 파란 이유는 빛의 산란과 흡수때문입니다.실제 혈액은 산소가 많이 함유될수록 붉은색을띠고 산소가적으면 검붉은색을 띠지만이 혈액의 색이 피부층을 통과해서 보면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피부아래에서 산란된 파란빛이우리눈에 들어오기 떄문입니다.또한 혈액자체가 파란색빛은 덜흡수하고 붉은색빛을 많이 흡수하는 특징이 있기때문에 밖에서 들어온빛 중 푸른색영역의 파장은 피부바깥으로 다시 반사시키는 특성이 있어 파랗게 보입니다.이런 특징은 피부의 두께에 따라서도 차이가 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유독 고양이들이 대소변을 잘 가리는 이유는 무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고양이들은 본능적으로 대소변을 잘 가리는 특징이 있습니다.그 이유는 야생에서 천적들에게 자신의 위칠르 노출시키지 않기위해 흙이나 모래를 덮는 습관을 만들어왔기 때문입니다.이렇게 냄새를 감추는것 자체가 고양이사 살아오던 생존 전략이었고, 현대사회에서 집안에서도 모래나 흙같은 재질을 깔아주면 그곳에서 대소변을 잘 숨겨놓는 행동을합니다.또한 자기 스스로도 배설물 냄새를 꺼리는 경향을 갖고있기도 하여 스스로 청결을 챙기는 동물이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
2112122132142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