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이상훈 전문가
상명대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대한제국의 명성왕후의 황제릉은 기존과는 어떻게 다른 모습을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명성왕후의 릉은 홍릉(洪陵)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조선 제26대 고종과 명성황후의 합장릉이라고 합니다. 왼쪽에 순종의 유릉이 조성되어 홍유릉이라고도 불립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공식적으로 최초의 스파이활동은 언제 어느시기에 발생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간첩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1750년경에 사망한 함무라비 왕의 궁정에서 외교사절로 위장한 스파이가 작성한 보고서를 통해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2500년전에 쓰여진 '손자병법'이라는 병법서에도 '반간'이라 하여 스파이에 대한 내용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는것으로 보아 이미 그 이전부터 간첩활동이 나라간에 활발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철기시대에 철기는 어떻게 발견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청동기는 제철작업을 할때에 녹는 점이 낮아서 쉽게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문제는 철기는 그 녹는점이 높아서 좀처럼 개발하기가 힘들었습니다.하지만 야금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로법'방식이 등장했는데 이 방식은 용광로를 이용해 철을 제련하는 방법으로써 용광로 아래에서는 공기를 주입하면서 위에서는 철광석과 석회석, 그리고 화로를 달구기 위한 연료를 계속 넣어주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갑자기 문득 궁금해지는데 아프리카 쪽 가난한 민족들은 왜 자꾸 애를 낳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크게 사회와 개인의 문제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국가의 인구정책에 따라 계도, 또는 강제로 산아제한정책을 펼쳐야되는데 그것도 어느정도 개발도상국을 거쳐 중진국에 접어든 나라에 가능한 것이고 후진국 같은 경우엔 사실상 손을 놓고 있습니다.또한 개인적으로 후진국들은 대부분 농업등 1차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데 그런 경우에는 인력이 가장 큰 재산이어서 자식을 많이 낳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의 무덤인 릉 원 묘의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능(陵)은 왕과 왕비, 추존된 왕과 왕비의 무덤을 뜻하며, 원(園)은 왕의 사친(私親), 왕세자와 왕세자빈·왕세손의 무덤을 말합니다.. 묘(墓)는 대군·군·옹주·후궁 등 나머지 왕족의 무덤이나 폐왕(폐위된 군주)의 무덤을 뜻하며, 일반적으로는 사대부의 묘를 가르킨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중일 관계를 1줄로 표현한다면 어떻게 표현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한중일 관계는 서로 맞물린 관계로 두나라가 모이면 빠져있는 한나라를 욕한다는 말이 있듯이 애증이 얽히고 섥힌 관계입니다. 제 생각으로 한줄로 표현한다면 '서로 못 잡아먹어서 안달.'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고유문화중에 하나인 강강술래는 어떻게 생기게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강강수월래의 연원에 대해서는 많은 설등이 있습니다.외적들이 침입했을 때에 아군의 숫자를 많게 보이게 하기위해 횃불을 들고 원을 그려 춤을 추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주로 아녀자들이 강강수월래를 많이 췄는데 성안을 염탐하는 적들을 기만하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또는 추수를 마치고 그것을 기념하기 위한 축제의 일환으로 추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요즘에는 중국의 품질도 많이 좋아진거 같은데 왜 중국은 모조품으로 유명한 나라가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후발국가들은 아무래도 앞선 국가의 디자인이나 제품을 따라하는 카피캣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보통 oem으로 개발도상국 국가들한테 공산품 제작을 맡기다보니 더 이러기가 쉽지요.중국은 한때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리웠을만큼 세계 유수의 브랜드가 제품 생산을 맡기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화폐 단위가 원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냥'의 화폐단위를 쓰던 것은 조선시대로 그후 대한제국으로 국명이 바뀌고 체제가 바뀌면서 자연스레 '원'단위의 화폐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아프리카 같은 곳을 자신의 나라의 편입시켜서 발전시킬 수 있는 나라는 없는 것인지 아니면 그럴 수가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현재 세계상에 공지로 남아있는 영토는 거의 없습니다. 공해로 남아있는 곳은 더럿 있을지 몰라도.그리고 산업화 시대를 거쳐 제국주의 시대에 유럽 국가들이 아프리카 국가, 부족들을 계몽을 시키고 산업을 발전시켜주려했다는 논리로 식민지화했다가 세계의 지탄을 받고 대부분의 나라들을 이제는 독립시켰거나 시켜주고 있는 상황이기에 다시 그를 반복하려 드는 국가는 없을 겁니다.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