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이상훈 전문가
상명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전체 성은 몇개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 통계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에서 귀화하여 생긴 성씨까지 합하면 5,582개의 성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순위는 김(金)10,689,959. 이(李)7,306,828. 박(朴)4,192,074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국화로 무공화를 택한이유가 따로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보통 국화는 그 나라의 역사와 민족성, 그리고 보편성을 가진 꽃으로 지정한다고 합니다.그 나라에 존재하지도 않는 꽃을 국화로 지정할 수는 없으니까요.당시 무궁화를 국화로 지정할 때 반대의 목소리도 많았습니다. 너무나 평범해서 다른 나라 꽃들에 비해서 덜 돋보인다는 이유에서 였습니다.하지만 피고 지고 또 핀다는 무궁화의 특성은 수천년동안 외침에 시달렸어도 그때마다 보란듯이 굳건히 다시 일어난 우리 민족 그 자체와 같았습니다. 화려함이 없지만 수수하면서도 질긴 생명력은 우리 민초의 삶과 닮았다고 하기도 합니다.무궁화의 무궁(無窮)은 '끝을 다함이 없다.'라는 의미로 우리나라와 민족이 앞으로도 영세도록 이어나가기를 바라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합니다.
역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고대문자 해석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알파벳은 현재의 유럽에 걸친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였던 문자입니다. 현재도 각 나라 언어는 다르지만 이 알파벳에 근원을 두고 있는 나라들이 대부분입니다. 이 알파벳의 근원이 되는 문자는 쐐기문자, 또는 페니키아 문자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같은 시기를 기록한 다른 두 문자를 비교해봄으로써 문자를 해독하는 방식이 주로 쓰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약사상 영어사전은 언제 처음 정리되고 사람들에게 배포가 되었느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최초의 영한사전은 미국 선교사 호러스 언더우드가 1890년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 뒤로도 제임스 스코트, 조지 헤버 존스가 영한사전을 만들어 영어 교육에 힘썼습니다. 한국인으로 영한사전을 최초로 만든 사람은 우리나라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일본이 독도를 자기땅이라고 우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1904년 일본의 어업인이 독도에서 강치잡이를 독점하기 위해서 일본 정부에 독도 영토 편입을 요청하였습니다. 이에 일본 정부는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이름 붙이고 독도 영토 편입을 일방적으로 결정했습니다. 일본은 당시 독도가 주인이 없는 '무주지'였기에 이에 근거하여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를 통해 고지를 했고 이를 근거로 독도가 일본땅이라 주장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신라 이사부에 의해 울릉도와 함께 독도가 한민족의 영토로 귀속된 이후 조선,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증거하는 사료, 지도등은 수도없이 많습니다. 독도는 하나의 작은 섬이 아닌 주변의 풍부한 해양자원과 영해선을 그을 때 주요한 지표가 될 수 있기에 우리나라도 한치의 방심이 없어야 하겠습니다.
역사
2024년 7월 18일 작성 됨
Q.
고려인은 어떤 사람들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고려인은 19세기부터 흉년, 기근등으로 연해주 지역으로 이주한 조선인들로부터 연원되었습니다.그후 스탈린의 강제 이주 정책등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거주지를 옮겨야 했습니다.고려인이라는 호칭은 고려시기에 이주를 해서 그런것이 아니라 고려인들의 연합 단체가 스스로를 명명할 때 조선인이라고 하기에는 북한에 조선인민주의 공화국이 성립되어있었기에 중립적이지 못하다 여겨 '고려인'이라 칭한데서 비롯됩니다.
역사
2024년 7월 17일 작성 됨
Q.
24절기 중 대서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대서'는 '큰 여름'이라는 뜻으로 일년중에 가장 더운 때를 의미합니다.이날에는 더위를 피해 과일이나 음식을 계곡등에서 먹기도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요즘말하는 피서철로 보면 되겠습니다.
역사
2024년 7월 17일 작성 됨
Q.
거울이 없던 시절에는 사람들은 어떻게 자기자신을 꾸밀 수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수천년전에 지금과 같이 유리거울이 아닌 청동거울이라는 것이 존재했습니다.그 이전에는 대야같은 곳에 물을 담아 그 위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보고 용모를 단장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7월 17일 작성 됨
Q.
국가, 애국이란 무엇일까요? · ·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국가와 애국에 대한 사전적 정의가 아닌 개인의 생각을 물으시는 것 같습니다.제 생각엔 국가란 '같은 사상과 역사를 공유하며 영토와 주권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라고 생각합니다.애국이란 이런 '국가라는 집단에 대하여 개인적 이익보다 먼저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역사
2024년 7월 17일 작성 됨
Q.
뉴턴이 있던 시절 독일의 라이프니치 과학자는 뉴턴과 첨예하게 대립한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뉴턴과 동시대 사람인 라이프니츠는 천재로 이름을 날렸던 수학자이며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대왕이 이 사람을 두고 '이 사람 자체가 대학이다'라고 말할 정도로 칭찬했을정도입니다. 무엇보다 지금의 컴퓨터의 기반인 이진법을 개발한 사람이고, 그를 통해 사칙연산을 할 수 있는 계산기를 최초로 개발하기도 했습니다.뉴턴과 라이프니츠 사이에 미적분을 누가 먼저 창시했냐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습니다.뉴턴은 자기가 이미 미적분 개념을 창시했다고 라이프니츠에게 편지를 보냈지만 라이프니츠는 실질적 발표를 먼저 한 사람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던 것 같습니다.아무튼 두 사람다 인류의 문명에 지대한 공헌을 한 천재들임에는 분명한 듯합니다.
116
117
118
119
1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