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가 매수 또는 매도 폭이 달라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스피 시장에서 주가 1000원 미만 종목의 호가 단위는 1원, 1000~5000원은 5원, 5000~1만원은 10원, 1만~5만원은 50원, 5만~10만원은 500원, 50만원 이상은 1000원이었습니다.그런데 금년 1월부터는 2000원 미만은 1원, 2000~5000원은 5원, 5000~2만원은 10원, 2만~5만원은 50원, 5만~20만원은 100원, 20만~50만원은 500원, 50만원 이상은 1000원으로 바뀌었습니다.호가 단위가 세분화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투자자들에게 좋은 일입니다. 현재 주가가 15만원이라고 할 때 이 종목을 당장 매수하려면 15만원 또는 15만500원의 가격을 써내야 합니다. 그러나 호가 단위가 촘촘해지면 15만원이나 15만100원의 호가를 내면 됩니다. 400원 이득인 셈이죠. 당장 팔려고 하는 입장에서도 14만9500원이 아닌 14만9900원의 매도 호가를 낼 수 있습니다. 100주, 1000주 단위를 생각해보면 적은 금액이 아닌데, 거래가 약간은 쉬워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지요
Q. 버스 요금이나 택시요금 등 공공재 가격이 오르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택시나 버스요금 인상은 주로 일반 국민들의 소비에 영향을 주어, 소비를 위축시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소비의 위축은 경제의 순환이 어렵게 된다는 의미이므로, 경제에 어느정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그러나, 전력이나 가스요금 등 기업의 생산활동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는 공공재와는 성격이 다소 다르므로, 전반적인 물가상승을 주도하는 요인은 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Q. 새마을금고와 일반 시중은행과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통상 주식회사의 형태로 영리조직인 은행과는 달리, 새마을금고는 협동조합으로 비영리조직입니다.은행법의 적용을 받는 제 1금융권 즉, 은행과는 달리, 새마을금고는 제 2금융권으로 '새마을금고법'에 의해 적용됩니다. 일반 은행과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지만 은행은 아니므로 법이 다른 것입니다.새마을금고는 총자산규모가 150조를 넘어선 상호금융조직으로서 중요한 소매금융기관입니다. 새마을금고는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지역·직장별 회원의 출자로 설립된 개별 금고와 이들을 감독·지원하는 별도 법인인 중앙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새마을 금고법에서는 이를 비영리법인으로 규정합니다. 그러나 비영리법인은 구성원 및 출자자들 에 대해서 수익배분의 제약을 핵심적 속성으로 삼기 때문에, 출자자에 대한 출자금·이용 고배당이 허용되는 새마을금고는 전형적인 비영리법인은 아닙니다.출자자와 이용자가 일치하는 상호부조적 성격을 가지고, 모든 회원이 1인당 하나의 의결권·선거권을 행사하는 협동조합에 속합니다. 새마을금고는 비회원에 대한 신용·공제사업을 영위할 수 있게 되면서 상업형 금융기관과 기능적 측면에서 점차 유사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