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가교은행'은 어떤 은행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교은행은 파산은행의 자산과 부채를 임시로 인수하여 합병, 채권ㆍ채무 관계 등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임시은행입니다. A라는 은행이 파산 또는 인가 취소가 날 경우, 예금보험기구는 B라는 가교은행을 설립, 채권.채무를 인수한 뒤 적당한 주인을 찾아 A은행을 넘기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가교은행은 A은행의 자산과 부채 규모를 감안해 적정한 선에서 예금인출 동결조치를 취하고, 가교은행 명의로 예금 입.출금, 수출입업무 등 최소한의 업무를 지속합니다. 이는 은행파산의 사회경제적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은행 업무를 정상적으로 지속함으로써 다른 은행에 합병될 때까지 사업권 가치를 유지할 수 있스니다. 또 기존 고용관계를 완전 파기함으로써 새 인수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등 제3자 인수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도 할 수 있는데,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청산 절차를 담당하게 됩니다. 가교은행에 의한 인수방식은, 도산은행의 규모가 커서 자산가치의 평가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자산부채승계 방식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부실 금융기관 처리당국이 새로운 은행을 신설하여 부실은행의 자산ㆍ부채를 포괄 승계하고, 인수 희망자를 물색하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점진적으로 예금대지급 등을 통해 정리하는 방식입니다.가교은행을 이용하면 갑작스런 파산을 피할 수 있어 은행 파산이 주는 충격을 줄일 수 있고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Q. 코스피,코스닥의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스피는 자기자본 300억원 이상이면서 3년 평균 매출액 700억 이상 등 기업 측면에서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출 것이 상장의 조건이므로 비교적 대기업들이 많습니다반면 코스닥은 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 등 기업규모가 작고 매출이 작은 기업들(흔히 말하는 중소형주)도 많이 등록되어 있습니다.다만, 코스피라고 해서 주가가 무조건 높은게 아니고, 코스닥이라고 해서 주가가 싼것은 아닙니다.주가는 시가총액이라고 불리는 기업의 가치나 모멘텀, 기대감 등과 관련있는 것이지 시장에 따라 구분되는 것은 아니거든요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쉽게 요약해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