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에비따라는 용어의 의미는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는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이자비용, 법인세, 감가상각비를 공제하기 이전의 이익으로, 편의상 영업이익과 감가상각비를 더해서 구합니다.EBITDA는 순수하게 영업활동으로 현금을 창출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코스닥 기업들 중 수년간 일정수준의 EBITDA를 기록하는 업체는 많지 않습니다. 그만큼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들만이 가능한 일입니다.회사가 대규모 시설투자를 집행해 이를 상각할 경우 영업이익은 큰폭으로 감소하지만 EBITDA는 변동이 없습니다. 또 외환차손 등이 발생하면 영업외손실이 늘어나 당기순이익이 타격을 받지만 이 또한 EBITDA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순수하게 기업의 영업능력 수준을 볼수 있는 지표인 셈이지요.물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손실이 발생했는데 EBITDA가 흑자고 일부 현금흐름이 흑자로 전환됐다고 해서 이것이 “회사가 재무적으로 타격을 입지 않았다”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그러므로 EBITDA 또한 투자시 참고정보로만 활용하는게 적절하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Q. 전기자동차에 대한 가격경쟁은 전기차 가격의 하락을 얼마나 하락시킬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에는 전기차 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배터리 기술이 발달하면서 전기자동차의 가격이 멀지 않은 시기에 휘발유 자동차의 가격과 비슷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전기차에 붙은 가격표는 휘발유 차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난해 말 현재 미국 내 전기차의 평균 가격은 6만1천488달러로 휘발유 차와 트럭의 평균 가격(4만9천507달러)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그러나 현재 미국 시장에서 제너럴모터스(GM)의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이쿼녹스의 경우 전기차 모델이 약 3만 달러, 휘발유 모델이 약 2만6천600달러에서부터 출발합니다.전기차 모델이 휘발유 모델보다 3천400달러 비싸지만, 전기차 소비자에 대한 미국 정부의 세액공제를 감안한다면 가격 면에서 전기차가 우위에 서는 셈입니다. 전기차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부품인 배터리의 생산비용 절감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최근 고가로 거래됐던 리튬의 공급이 안정화됐고, 미국 내에 건설된 배터리 공장의 대량 생산도 생산 가격을 끌어내리고 있다고 합니다.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 가격은 최고치에서 20%가량 하락했고, 코발트의 가격은 지난해 5월 이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미국 내 청정에너지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도입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도 전기차 업계의 가격 인하 경쟁을 불렀습니다. 선두업체인 테슬라가 세단인 모델3와 모델S, SUV인 모델Y와 모델X의 판매가를 최대 20% 할인하자, 포드도 테슬라 모델Y의 경쟁모델인 머스탱 마하-E의 가격을 인하했습니다.기술의 발달과 치열해지는 경쟁은 소비자에게는 좋은 일일 수 밖에 없습니다. 전기차 가격과 함께 충전소 확충 등 인프라도 더 좋아진다면 전기를 살만한 여건은 지속적으로 좋아지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