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성층화산과 순상화산의 구조적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성층화산과 순상화산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분출하는 마그마의 조성에 따라 발생합니다. 마그마는 SiO2 함량에 따라 52% 이하인 현무암질, 63% 이상인 유문암질, 그 사이인 안산암질로 구분합니다. 현무암질 마그마는 온도가 높고 유동성이 크며, 휘발성분이 적습니다. 그에 비해 유문람질 마그마는 점성이 크고 휘발성분이 많습니다. 현무암질 마그마는 지표의 좁은 틈만 있어도 빠져나오며 유동성이 커서 멀리까지 흘러갑니다. 따라서 현무암질 마그마의 분출로 만들어진 화산체는 경사가 완만한 용암대지나 순상화산을 형성합니다.안산암질 마그마는 현무암질과 유문암질의 중간 성질을 가지므로 비교적 조용한 분출(주로 용암 분출)과 격렬한 분출(화산 쇄설물 분출)을 번갈아 합니다. 이로 인해 안산암질 마그마의 분출로 형성된 화산체는 용암과 화산쇄설물이 번갈아 쌓여 층을 이루는 성층화산이 됩니다. 순상화산은 모양에 관계된 용어이지만 성층화산은 모양보다는 화산체를 이루는 물질의 층에 관계된 용어입니다.화산체의 경사는 현무암질에서 유문암질로 갈수록 급해집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행성들도 수성형 행성과 지구형 행성으로 나눠지던데 어떤 차이로 나누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행성을 구분할 때 나누는 기준은 물리적 특성과 궤도입니다. 궤도를 기준으로 할 때는 지구보다 안쪽을 공전하는 내행성과 바깥쪽 궤도를 공전하는 외행성으로 구분하며, 지구는 어디에도 속하지 않습니다.물리적 특성을 기준으로 구분할 때는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행성의 이름을 따서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구분합니다.목성형 행성은 지구형 행성에 비해 크기와 질량이 크고 위성도 많습니다. 구성물질은 수소, 헬륨, 메탄 등 가벼운 물질이며 지구형에 비해 밀도가 작습니다(일반적으로 2 이하). 밀도가 가장 작은 토성의 경우 약 0.9로 얼음과 비슷합니다. 지구형 행성은 밀도가 3 이상이며, 단단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암석형 행성이라고 합니다. 목성형은 단단한 표면이 없는 기체형 행성입니다. 지구형 행성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있으며, 목성형 행성에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있습니다. 자구형 행성은 목성형 행성에 비해 안쪽 궤도를 공전하는데, 이것은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행성들이 함께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태양풍에 의해 가벼운 물질들이 먼 곳으로 밀려났기 때문이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ㅣ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