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Q.  반모음 'ㅣ'나 반모음 'ㅜ'는 모음인가요, 자음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제시하신 질문에 해당 명칭에 그 답이 있습니다. 모음에는 단모음, 반모음, 이중모음이 있습니다. 따라서 반모음은 모음입니다.
Q.  비율에서 율이 중국어에서는 어떤 뜻입니까?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비, 비율, 율은 한자어로서 수학적 용어입니다.하지만 이것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있어서는 한자어 자체보다는 영어로서의 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됩니다. 비(ratio)는 두 개 숫자의 상대적 크기를 비교한 것입니다. 분자와 분모가 서로 독립적인 관계로 서로 다른 범주일 때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A에 대한 B의 비는 B÷A로 계산됩니다. 성비, 인구밀도(인구/면적) 등이 비에 해당됩니다.비율(proportion)은 비의 다른 특수한 형태로 분모에 분자가 포함됩니다. 전체 미혼자 중 남자 미혼자의 비율을 볼 때 수식의 내용이 남자 미혼자/(남자 미혼자+여자 미혼자 로 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전체 미혼자에 남자 미혼자의 수가 포함되어있는 것이죠. 율(rate)이란 특정기간 동안에 발생된 사건을 그 사건의 위험에 노출된 총 횟수(건수, 사람수)로 나눈 것으로 보통 천분율(‰)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1년 동안의 이혼건수를 그 해 중간시점의 인구(연앙인구: 7월 1일 기준)로 나누어 천분비로 산출한 조이혼율이 대표적인 예에 해당합니다. 2024년 혼인건수 대비 이혼건수를 비교하였을 때 뉴스나 기사에서 '1000쌍 결혼하고 470쌍 이혼하여 결혼 대비 이혼률이 47%다'라고 한 것은 잘못된 예로 이혼률이 아니라 이혼비라고 표현해야 맞습니다.
Q.  요즘 청소년들도 삼국지를 필독서처럼 읽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요즘은 과거처럼 삼국지를 읽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접하더라도 만화 삼국지 정도에서 관심이 있는 아이들만 책으로 넘어가지 대부분 만화 삼국지에서 끝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소설적 요소가 강한 삼국지보다는 한국고대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이 주류인 듯 합니다. 한국사검정시험 같은 것도 있으니 더욱 관심을 가지고 있는 듯 합니다.
Q.  한글처럼 창제자와 창제연도가 밝혀져 있는 문자가 더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문자의 창제자와 창제연도가 정확하게 밝혀져 있는 문자는 훈민정음-한글이 유일합니다. 그리고 그 문자의 창제원리까지 자세히 밝혀져 있으니 더욱 대단한 유산입니다.
Q.  국어국문학과 vs 영어영문학과 어느곳이 더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통번역 대학원까지 생각하신다면 영어영문학과를 가시는게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글쓰는 것을 좋아하신다면 굳이 국어국문학과를 가실 필요는 없습니다. 아시다시피 많은 실력있는 유명 작가들이 국어국문학과가 아닌 다른 전공 또는 일을 하던 분들이 많습니다. 글 쓰는 것은 학문으로 배울 것이 아니라 책을 많이 잃고, 많은 습작을 통해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가면 될 듯 합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