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아는 것을 공유하고 모르는 것을 함께 공부해요~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Q.  제우스가 소로 변한 이오를 구해낸 방법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전령의 신 헤르메스에게 시켜서 여러가지 이야기와 나른한 피리소리를 이용하여 잠들게 하여 100개의 눈이 다 감길 때까지 기다렸다가 목을 베어 버렸다고 합니다. 이후 이오는 바다를 건너 이집트에 가서 제우스를 만나 인간으로 다시 돌아왔고, 동칭하여 에파포스를 낳았다고 합니다. 그 때 이오가 건넌 바다를 이오니아해라고 했다고 합니다.
Q.  이오니아 해는 그리스 신화 이오 와 관련있다는데 어떤 사연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이오니아해는 발칸반도 남부의 서해안과 이탈리아반도 남해안 및 시칠리아섬 동해안에 둘러싸인 해역입니다. 강의 신 이나코스와 멜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며 아르고스를 건설한 포로네우스의 자매인데 제우스는 이오를 유혹하여 검은 구름으로 주위를 덮은 뒤 관계를 맺고는 헤라의 눈을 속이기 위하여 암소로 변신시켰다고 합니다. 이에 헤라는 모른 척하고 암소를 선물로 달라고 하였고 제우스는 의심을 살 것 같아 암소를 건네주었습니다. 이후 헤라는 100개의 눈을 가진 거인 아르고스에게 암소를 감시하도록 맡겼는데 제우스는 이런 이오를 되찾아오기 위해서 헤르메스를 보내 여러 이야기와 나른한 피리 소리를 내서 아르고스로 잠들게 하고 죽여 버렸습니다. 이에 헤라는 아르고스의 머리에서 눈을 빼내 공작의 깃털 장식으로 삼고, 무지개를 보내 이오를 쫓게 하였고, 쇠파리를 보내 암소가 된 이오를 괴롭혔습니다.쫓기던 이오는 제우스에 의해 바위산에 묶여 독수리에게 간을 먹히는 것을 반복하고 있던 프로메테우스를 만나 미래의 운명에 대한 예언을 들었다고 합니다. 그 암소가 건넌 바다를 이오의 이름을 따서 이오니아해라고 부르게 되었고 합니다. 이후 이오는 이집트에 가서 제우스를 만나서 인간의 모습을 되찾고 제우스와 동침하여 아들 에파포스를 낳았다고 합니다.
Q.  한자에서 부수는 왜 존재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한자에 부수가 있는 이유는 그 근거가 명확하게 설명되거나 규명되어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자가 형성, 회의, 상형, 지사문자이기 때문에 각각에 따라 부수를 결정하는 기준이 달라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자에 부수가 생겨난 이유를 유추해 본다면 기본적인 상형문자에서 파생 또는 결합하여 뜻을 나타내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 아닌가 합니다. 형성문자의 경우 예를 들어 들을 문 聞의 경우 말이 귀를 통해서 들어오므로 문 문 門에 귀 이 耳 부를 써서 그 의미를 결합하게 되는 것입니다.회의문자의 경우 예를 들어 사내 남 男의 경우 밭 전 田, 힘 력(역) 力으로 자서에 따라 어떤 것이 부인지 달라지게 되기도 합니다. 상형문자나 지사문자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예로 볼 때 부수가 있는 이유는 두가지 이상의 글자를 병합하여 그에 파생되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이 귀를 통해 들어오니 들을 문이라고 하고, 밭을 가는 힘을 가진 이를 사내 남이라고 하며 의미를 탄생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간단한 예를 들면 나무 목 木이 두 개 모이면 수풀 림 林, 세 개 모이면 수풀 삼 森으로 새로운 의미가 탄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Q.  키클롭스가 신들에게 무기를 선물했는데 삼지창의 능력은?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삼지창 트리아이나는 물의 3가지 속성인 유동성, 과다함, 음용성을 가지고 있으며,물을 솓구치게 하거나 파도를 일게 하거나 할 수 있으며, 크레타 왕 미노스가 신의 형제들과 왕위를 놓고 투쟁할 때 자신이 왕위에 오를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포세이돈에게 기도하면서 눈처럼 하얀 황소를 증거로 보내달라고 요청했을 때, 이를 트리아이나로 하얀 황소를 만들어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Q.  고려가요와 신라 향가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향가는 처음 4구체의 민요형식으로 시작된 서정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감정이 점차 복잡하여짐에 따라 보다 장형화(長型化)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되어 4, 6, 8, 10구체 사이를 방황하다가, 삼국통일기에 들어서 마침내 10구체의 사뇌가 형식으로 완결되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고려가요는 민요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는 반복과 병치, 후렴구의 변화 있는 배치가 도드라집니다. 고정된 형태를 벗어나 율조(律調)의 제약도 적고, 그 형식도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특히 후렴을 삽입하여 한층 노래의 느낌이 있는 형태입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