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관습적 표현과 관용적 표현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문학에서 관습적과 관용적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관습적보다는 관용적 표현이라고 많이 쓰죠. 관용적 표현이란 구비 문학의 문체적 특징 가운데 하나로, 일상 언어와 달리 구조나 의미가 특이한 구절로 이야기의 내용을 재미있고 쉽게 기억하여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문체적 장치입니다. 해학과 풍자의 중요한 기법이 되기도 한다.사전적으로는 관습적이란 관습에 따른 것, 어떤 사회에서 오랫동안 지켜 내려와 그 사회 구성원들이 인정하는 질서나 풍습에 따른 것을 뜻합니다. 관용적이란 오랫동안 써서 굳어진 대로 늘 쓰는 것, 습관적으로 늘 쓰는 것을 뜻합니다. 다른 뜻으로 남의 잘못 따위를 너그럽게 받아들이거나 용서하는 것의 뜻도 있습니다.
Q. 속독을 하는 거에 대해서는 좋지 않은 습관이라고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속독은 원래는 정독이 능숙하게 훈련되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글의 문장, 문단, 페이지의 확대되는 방식으로의 전체 이미지로 글을 읽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독과 속독이 모두 훈련되어 있다면 속독이 책의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읽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입니다. 속독을 하고 책의 줄거리나 세부적인 감정표현,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 등에 대해 놓치는 것 없이 인지 및 숙지하고 있다면 속독은 다독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됩니다. 다만 어떠한 책을 연구하고 분석함에 있어서는 속독보다는 정독이 좋은 방법입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대충 그림과 글자 일부만 보는 경우가 있는데 그래도 자신은 책의 내용을 다안다며 이야기 하곤 합니다. 하지만 아이들의 경우 독서를 할 때 글자 하나 하나를 모두 읽는 정독으로 훈련시키고, 그 내용에 대해 아이들과 함께 되짚어보며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지는 정독과 독서 토론 또는 이야기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으니 속독보다는 정독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