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그리스로마신화에서 에리시크톤 관련 이야기는 어떤 내용인가요?
에리시크톤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불경하고 무례함의 대명사인 테살리아의 왕입니다. 그는 식당을 지을 나무가 필요하다며 데메테르 여신에게 봉헌된 신성한 숲의 나무들을 잘라서 사용하였습니다. 그는 데메테르 여신의 화관이 달린 커다란 참나무를 아무도 감히 베려 하지 않자 직접 도끼를 들고 나가 나무를 찍었고 나무에서는 피가 흘렀습니다. 옆의 신하가 말렸지만 그는 신하의 목을 베어버리고 신성한 나무도 역시 베고 맙니다.이에 격노한 데메테르 여신은 기아의 여신 리모스에게 명하여 에리시크톤을 채워지지 않는 굶주림에 시달리도록 하였습니다. 잠자고 있는 그의 뱃속과 혈관에 허기를 뿌려 놓았고, 잠에서 깬 그는 마구 음식을 탐하였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았고, 음식을 마구 사는 바람에 재산을 모두 날려버렸습니다. 그러자 그는 자신의 딸 메스트라를 많은 돈을 받고 구혼자에게 팔아버렸는데 그녀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사랑을 받는 이였고, 포세이돈은 메스트라의 바람에 응답해 그녀에게 변신의 능력을 주었고, 그녀는 어부로 변신하여 도망쳤습니다.그런데 딸이 집으로 돌아오자 그는 다시 딸을 구혼자에게 팔아 음식을 샀고 메스트라는 이번에는 말로 변신하여 다시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러한 딸의 능력을 알아차린 그는 계속해서 딸을 팔아 음식을 조달하였지만 그의 배고픔은 사라지지 않고 더욱 심해졌습니다. 어느날 팔려간 딸이 평소보다 늦게 돌아오게 되고 더이상 배고픔을 참지 못한 에리스크톤 자신의 사지를 찢어 먹었습니다. 마지막에는 치아만 남아서도 그 굶주림은 가시지 않았다고 전해집니다.이 이야기는 신의 나무까지 탐하는 탐욕과 자신의 딸을 팔아서라도 자신의 식욕을 채우고자 하는 에리시크톤의 모습에서 절제를 필요성과 과욕의 말로를 보여줍니다.
Q. '년도'와 '연도' 어떤 표현(맞춤법)이 맞는건가요?
두 표기의 차이는 의외로 간단합니다. 원래의 한자 표기는 '년도'입니다만 한자음 '녀'가 앞에 올 때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어 '여'로 적는다는 한글맞춤법 제 10항에 따라 '연도'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해나 숫자 뒤에 올 때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따라서 다른 말과 함께 쓰이는 경우에는 '회계연도, 제작연도, 설립연도' 처럼 '연도'로 쓰는 것이 맞고, 앞에 숫자나 해, 그를 나타내는 말이 오는 경우 '1975년도, 2024년도, 일 년, 내년' 처럼 '년도'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두 쓰임의 문법적 차이를 보시면 '연, 연도'의 경우 독립해서 사용할 수 있는 명사이고, '년, 년도'의 경우 독립해서 사용할 수 없는 의존명사입니다.
Q. 소멸 위기 언어의 보존 노력에 대한 질문
언어가 소멸된다는 것은 그 문화가 곧 소멸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다민족 국가에서의 소수민족들의 언어, 단일민족 국가에서의 방언 등은 반드시 보존되어야 할 문화유산입니다. 이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문자적 표기 자료, 음성적 자료, 시대적 자료 등을 종합하여 해당 언어가 명맥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소수민족의 언어의 경우 국가의 통용어와 함께 학교에서 해당 소수민족의 고유언어도 배우가 하여 그 유산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단일 민족의 지방 방언의 경우 학교에서 공통적으로 가르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상위 연구기관인 대학, 대학원 등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하며 그 지역색에 맞게 유지시켜나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제주 방언 전승자' 같이 선정하고 이어나갈 수 있도록 지방자치 또는 국가 재정의 지원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방송에서 드라마, 다큐멘터리, 영화 등 많은 미디어에 노출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Q. 이 시에서 운율,심상,표현기법 찾아주세요
위의 시는 나태주 시인의 입니다.먼저 시의 음악적 요소인 운율을 살펴보면, 정통적인 두운(구절의 첫음을 맞추는)을 사용하였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그'라는 첫 글자로 구절을 시작하여 음악적인 요소를 고려하였습니다. 그리고 구절 곳곳에 '지킨다', '지키고'를 반복하면서 각운(구절의 마지막음을 맞추는)도 고려하였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Rap으로 따지면 라임을 맞춘거죠. 그리고 '그대의 자취/그대의 숨결/그대의 추억'의 다섯글자 맞춤과 '그대가 남긴 산을 지키고/그대가 없는 들을 지키고'에서 열글자의 글자수와 구절 형태를 반복 대응함으로서 음악적인 요소를 주었습니다. 이 시의 주제는 '그리움'입니다. 시 전체의 심상이 '그대'가 떠나고 남은 모든 것들에게서 '그대'를 느끼며 쉽사리 사그라들지 않는 뜨거운 감정과 조금씩 변해가는 마음의 아쉬움을 노래하였습니다 이 시에 사용된 비유법은 겉으로는 확 드러나지는 않게 잔잔하게 사용되었습니다. '그대가 남긴 산/그대가 없는 들'은 함께 하며 쌓아왔던 정과 추억 등 모든 것을 산, 들에 비유하였다고 보고 환유법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대가 바라보던 강물에 하늘에 흰구름을 지킨다'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해갈 수 밖에 없는 강물, 하늘, 흰구름을 잡고 싶은 마음을 마찬가지로 녹여 넣었습니다.
Q. '잔인한 4월'이라는 표현이 어디서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영국 시인 토머스 스턴스(T.S) 엘리엇(1888~1965)의 시 ‘황무지'에 나오는 시구절을 인용된 것입니다. April is the cruelest month, briddingLilacs out of the dead land, mixingMemory and desire, stirringDull roots with Spring rain.Winter kept us warm, coveringEarth in forgetful snow, feedingA little life with dried tubers.4월은 가장 잔인한 달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추억과 욕망을 뒤섞고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겨울이 오히려 우리를 따뜻하게 해 주었다.망각의 눈으로 대지를 덮고마른 뿌리로 약간의 목숨을 남겨 주었다
Q. 노벨문학상 수상자 중 수상 당시 최고령은 누구였나요?
역대 최고령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해는 2007년입니다. 수상자는 영국 작가 도리스 레싱이 88세의 나이로 노벨문학상을 받았습니다. [사진 출처 - 노벨상 공식 홈페이지]추천작으로는 첫발표작인 1950년 , 1962년 , 1974년에 발표된 이 있습니다. 도리스 레싱은 노벨문학상 수상 이외에도 서머싯몸상(1954), 메디치상(1976), 셰익스피어상(1982) 등을 수상했고, 2008년 타임지가 선정한 가장 위대한 영국 작가 50인 가운데 '동물농장'의 조지 오웰, '파리대왕' 윌리엄 골딩 등에 이어 5위에 이름을 올렸다고 합니다.
Q. 귀신이 곡할 노릇이라는 표현의 유래가 있나요?
귀신이 곡할 노릇이라는 속담의 뜻은 신기하고 기묘하여 그 속내를 알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이 이야기에는 몇 가지 비슷한 설화가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네이버 지식백과 / 문학원형백과에 있는 내용을 발췌하였습니다. 아래에 출처 명시하였습니다.옛날 한 촌에 가난한 사람이 살았다. 부부가 슬하에 자식이 없어 항상 쓸쓸하게 지내면서 부부는 함께 열심히 정성을 들였다. 어느 날삼신산에서 그 부인이 빌로 있다가 잠깐 잠이 들었다. 그런데 한 노인이 나타나, “너의 정성이 지극하니 애를 낳게 해 주겠다. 네가 돌아가는 길에 산삼이 한 뿌리 있을 터이니 그것을 캐어 먹으면 자식을 갖게 될 것이다.” 이렇게 이르고는 사라졌다. 부인이 깜짝 놀라 깨어 보니 꿈이었다. 그래 꿈에 가르쳐준 곳으로 가보니 과연 삼이 있었다. 그것을 캐어 가지고 집으로 와 남편한테 꿈 이야기를 한 후 삼을 달여 먹었다. 그랬더니 정말로 태기가 있어서 옥동자를 얻게 되니 부부는 웃음 속에서 세월 가는 줄도 모르고 살아갔다.이 애가 자라 칠팔 세가 되었기에 공부를 시키려고 서당으로 보냈다. 그런데 하라는 공부는 하지 않고 활을 만들어 사냥만 다녀 항상 부모에게나 선생에게 종아리를 맞기가 일쑤였으나 여전히 공부는 안 했다. 제 나이 십칠팔 세가 되어도 제 이름자 하나 똑똑히 쓰지 못했다. 그러던 게 어느 날 아버지 앞에 와서 무릎을 꿇더니 과거를 보러 가겠으니 허락해 달라고 하는 것이었다. 하도 조르는 바람에 가산을 털어 활을 사 주었다.이 애가 과거를 보러 가는 도중에 날이 저물어 어떤 집에서 자게 되었는데 그 집엔 예쁜 처녀가 있었다. 그 주인 영감이 아이를 보니 매우 똑똑하게 생긴지라 일부러 딸에게 접대를 시켰으나, 아이는 처녀가 들어만 오면 호통을 쳐 내보냈다. 그 다음 날 길을 떠나려고 문을 여니 처녀가 문턱에서 목을 매어 죽어 있었다. 하는 수 없이 과거장에 가긴 갔다. 활은 과녁에다 다섯을 정중으로 맞춰야 하는 것이었다. 자신이 만만한 아이는 자기 차례가 되어 활을 쏘니 조금도 빈틈없이 셋은 명중이 되었다. 그리고 네 번째 화살을 쏘는데 난데없는 회오리바람이 일어 화살이 중간에서 꺾어지고 말았다. 그래 결국 과거에 떨어지고 말았는데 이 과거는 3년 만에 한 번씩 보는 것이었다.그러나 과거를 볼 적마다 셋은 정중에 맞고, 네 번째 살에 가서는 꺾어지고 말았다. 하도 이상해서 점쟁이에게 물으니 처녀의 죽은 귀신이 악마가 되어 쏠 때마다 방해를 놓는다고 하였다. 나이 서른이 넘어 가지고 또 과거시험을 보러 갔다. 셋은 여전히 맞추고 네 번째 화살을 쏘려고 하다가 울음이 나와서 서 있었더니 원님이 이상히 여겨 그 우는 곡절을 물었다. 이제까지의 일을 자세히 이야기하니 원님은 정중으로 맞춘 것을 거두고 다시 쏘라고 하여 다시 두 번을 쏘니 백발백중이었다. 먼저 거둔 살과 합해 과거에 급제하였는데 갑자기 공중에서 악귀가 울면서 원님 꾀에 넘어갔다고 원통해 하며 도망쳐 버렸다. 이때부터 신기한 꾀를 내면 귀신이 곡할 노릇이란 말이 생겨났다고 한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귀신이 곡할 노릇 (문화원형백과 인귀세상, 2004.,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Q. 숭고, 우아, 비장, 골계의 미적 범주를 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숭고 우아 비장 골계의 미적 범주는 일상적으로 의식할 수 있는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문학작품은 이들을 예술적 질서에 맞도록 집약화해 지녀 미적 범주(asthetische Kategorien)라고 부르는 미의 기본적인 분별 양식으로 삼고 있다고 보고 그 작품에서 메세지를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 판단하기 위해 미학의 개념을 접목시킨 것입니다. 작품을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서, *숭고미 - 높고 커다란 이상을 추구하는 미의식의 범주이며 우월한 것, 위대한 것을 추구하는 인간의 요구에 응하는 미입니다. 이상적인 것이 현실적인 것보다 우세한 상황에서 이상적인 것을 추구함으로써 나타나는 아름다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우아미 - 안정된 조화, 이성과 감성 자유와 구속, 만남과 이별 등 인간의 삶 속에서 완전한 조화의 아름다움을 기본적으로 추구하여 경쾌하고 감미로운 것을 준다. 현실의 긍정적 수용에서 표현되는 살아있고 현실적인 아름다움입니다.*비장미 - 비장미는 대상의 위대성과 적극적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서 숭고미와 공통점을 지니지만 그와 달리 당연히 이루어져야 할 이상이 시련에 부딪혀 침해되고 멸망하는 과정 내지 결과에서 생겨나는 격렬한 고뇌 속에서 얻게 되는 드라마틱함이 있습니다. 현실적인 것이 우세한 상황에서 이상적인 것을 끝까지 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골계미 -앞선 범주들과 (특히 숭고미, 우아미) 대립하는데, 우아한 것을 실추시키려는 인간의 욕구에 의해 나타나는 아름다움입니다. 이러한 목적의 실행으로 발생되는 작은 결과가 해방감과 자유를 느끼게 합니다. 문의하신 내용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시려면, 조동일의 를 추천드립니다. 상기의 내용들이 더욱 자세히 설명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