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전문가입니다.

이현행 전문가
운흥초등학교
철학
철학 이미지
Q.  임꺽정은 의적인가요 도적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이클 센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임꺽정, 홍길동, 장길산은 조선이 낳은 3대 도적이지만 의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센델은 정의를 행복, 자유, 미덕의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임꺽정은 사회구성원의 행복을 위해, 그리고 그틀의 자유를 위해 도적활동을 했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당시 조선사회의 위정자들의 가렴주구에 경종을 울렸기에 미덕의 기준으로도 의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조선후기 실학자인 성호 이익도 이런 측면에서 단순한 도적을 넘어서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평가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율곡이이와 퇴계이황 햇갈려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율곡 이이와 퇴계 이황 두분 모두 조선을 빛낸 뛰어난 성리학자였습니다. 시기상으로 이이가 늦게 활동했습니다.이황과 이이 두분은 조선 성리학을 중국보다 높인 공로가 있고 이황의 성리학은 일본 성리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이황은 동인 중 남인의 학파적 근원이고, 이이는 서인의 학파적 근원입니다. 이황은 꾸준히 연구해 뒤늦게 대성한 스타일이고 이이는 천재적 스타일로 어려서부터 두각을 나타내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헌법은 어떤 역사적 의의를 가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신헌법은 7차개헌으로 1972년 국민투표로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유신헌법으로 박정희 대통령은 삼선개현을넘어서 영구집권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대통령 직선제에서 간선제로 바뀌었으며, 임기 6년의 대통령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하는데 99퍼센트 이상의 득표로 박정희 대통령을 두번 뽑았습니다. 이는 민주 국가에서 나올 수 없는 득표율로 사실상 독재체제였습니다. 대통령의 권한도 크게 강화되었는데, 긴급조치 등을 발동해 유신헌법 비방을 금지했습니다. 유신헌법은 박정희 대통령의 시해로 사실상 끝나게 되는데 1979년 12.12사태로 신군부가 정권을 잡고 이듬해 7년단임의 간선제를 택한 8차개헌을 통해 전두환 대통령이 대통령선거인단에서의 득표로 당선됙니다. 유신체제는 끝났지만 군부독재는 계속되었고 9차개헌으로 대통령 직선제와 단임제를 쟁취했지만, 노태우 후보가 대통령이 당선됩니다. 유신체제와 신군부 독재로 대통령 단임제와 직선제가 규정되었다는 역사적 의미가 있겠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단군 신화에 대해서 궁금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곰과 호랑이 부족이 환웅부족과 연합하는 상황이 단군신화에 담겨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곰토템과 호랑이토템을 믿는 부족이라고 봅니다. 곰이 인간이 된다는 것은 환웅부족과 곰부족이 연합하여 고조선을 건국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신화 속 곰이 쑥과 마늘을 먹고 인간이 된다는 것은 인간중심적 시각과 인간 우월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인본적 특징을 보인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대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유사는 고려 충렬왕 대 승려 일연이 정사에 없던 유사를 모아 찬술한 것입니다. 단군신화를 최초로 실었다는 역사적 의미가 있습니다. 불교적 시각을 기본으로 신화, 설화 등 다양한 야사도 담아내어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고려시대에도 간행된 것으로 보이지만 남아있는 것으로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것입니다.삼국사기는 고려 인종 대 김부식 등시 편찬한 사서로 삼국유사보다 일찍 편찬되었습니다. 그 이전에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사서도 편찬되었으나 실존하지 않음으로 해서 현존하는 최초 최고의 사서입니다. 유교사관에 입각해 쓴 정사로 기전체사서입니다. 괴력난신은 싣지 않는다는 원칙으로 신화와 설화, 아사 등은 배제한 합리주의를 특징으로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왕조에 왕들의 이름이 종 과 조로 나뉘는 기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특별한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고려 태조와 조선 태조처럼 개창군주를 태조라 부른 정도의 규칙성이 있고 나며지는 특별한 규칙이 없습니다. 왕의 시호는 왕이 죽고 신하들이 붙이는 것인데 선대 왕의 업적과 과실, 특징 등을 평가해 반영하는 것입니다. 조나 종에 붙는 특별한 규칙이 있거나 우월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조선9대왕 성종에 대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조선시대 왕위계승은 적장자 원칙이 적용됩니다. 왕의 장자로 대비와의 소생을 적자이면서 장자를 왕위계승에 우선권이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장자가 쇠약하거나 일찍 죽게되는 등의 사정에 다른 이가 왕위를 잇기도 합니다. 세종의 두아들 문종과 세조가 모두 왕이 된 경우도 있지요. 물론 문종의 아들 단종을 폐위한 계유정난으로 세조가 집권한 특수한 사례도 있습니다.세조의 손자이자 예종의 조카인 성종이 왕위에 오른 것도 이러한 사례입니다. 하지만 적장자가 아닌 자가 왕위에 올랐더라도 조와 종은 붙여집니다. 조와 종은 시호인데, 왕이 죽은 후 후대 신하들이 붙이는 것이 관례라 왕 이 재위시에 간섭할 수가 없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제갈공명? 제갈량? 같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갈량과 제갈공명은 같은 인물입니다. 중국 옛전통으로 이름을 부르지 않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름을 부르면 쉽게 죽을 수 있다는 두려움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에 따라 중국에서는 자라고 해서 본명 대신 쓰는 이름이 있었습니다. 제갈량 성은 제갈 이름은 량 자는 공명이었습니다. 삼국시대 유비의 책사로서 활약한 제갈량, 그의 책사로서의 능력은 대단히 출중해 유비를 크게 성장시켰지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백제의 명장 계백이 단순 무식하다고들 하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용맹함의 상징같은 인물이 황산벌전투의 계백장군이지요. 적의 노비가 되는 것이 싫어 처자를 죽이고 출전에 낫선 일화는 그의 백제멸망을 예견한 결연한 의지미지요. 계백장군은 김유신의 5만군사를 5천의 군사로 네차례나 물리쳤습니다. 신라의 어린 화랑 관창이 용감하게 싸우다 졌고 이에 사로잡혔을 때 계백장군은 살려보냈으나, 관창은 재차 나와 싸웠고 이번에는 목을 베어 보내며 신라군의 청년이 이리 용맹하니 전투승리가 어렵다고 판단한 계백, 장군의 예상대로 신라군의 사기는 높아졌고 승리하였습니다. 그의 장수로서의 결단력에 그런 오해가 생긴 것이 아닌가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어릴적 동화 키다리아저씨의 작품 작가는?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키다리 아저씨는 진 웹스터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입니다. 20세기 초반 1912년에 발표한 작품으로 키다리아저씨의 후원으로 꿋꿋하게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그린 대표적인 성장소설입니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와 함께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작품입니다.
91929394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