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연말정산시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미적용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연금저축펀드에 가입 중이시지만, 개인적인 사정으로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를 받지 않길 원하신다면, 연말정산 시 해당 항목을 선택하지 않음으로써 세액공제를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부 정보에서 무조건 세액공제가 된다는 말이 있으나, 이는 자동으로 공제 항목이 적용되는 경우를 말합니다.따라서, 연말정산 시 연금저축 세액공제 항목을 선택하지 않으면 세액공제를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이후 해당 공제를 다시 받고싶으시다면 내년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또는 내년5월이 지나면 종합소득세 경정청구를 진행하면 세액공제를 차후에 받으실수도 있습니다.
Q. 핸드폰 요금의 연체를 하는것도 연말정산에 피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핸드폰 요금 연체는 연말정산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연말정산은 소득, 공제, 세액과 관련된 세무 절차로, 신용점수나 요금 납부 이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다만, 신용점수 하락은 대출이나 금융 혜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연체를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네이버 후불결제 납부일 변경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네이버페이 후불결제의 납부일은 매월 5일, 15일, 25일 중 선택할 수 있으며, 납부일 변경은 지정된 날짜에만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납부일이 15일인 경우, 15일에만 납부일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2월 15일에 납부일을 25일로 변경하면, 다음 납부일은 12월 25일이 됩니다. 이때, 12월 15일에는 기존 청구금액이 없으며, 변경된 납부일에 따라 새로운 청구금액이 발생합니다. 납부일 변경은 매일 07시부터 24시 사이에 가능하므로, 원하는 날짜에 맞춰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Q. 연말정산시 부양가족이란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연말정산에서 부양가족은 근로소득자가 생계를 함께하며 부양하는 가족으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대상이 됩니다. 배우자, 부모님, 자녀, 형제자매 등 연소득 100만 원 이하(근로소득만 있으면 총급여 500만 원 이하)인 가족이 해당됩니다. 부양가족 1인당 150만 원의 기본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만 70세 이상 부모님은 100만 원 추가공제, 장애인은 200만 원 추가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자녀 2명 이상일 경우 1인당 15만 원, 3명부터는 추가 20만 원의 자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세금 절감 효과가 커집니다. 공제 요건은 소득과 거주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Q.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조건이 되어서 가입했다 다시 미충족할 경우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가입 시 직전년도 소득이 연 5,0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입 후 소득이 없어지더라도 계좌는 유지되며, 이미 납입한 금액에 대한 혜택은 지속됩니다. 다만,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무주택 세대주 요건과 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하므로, 소득이 없는 기간 동안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추후 소득이 발생하여 요건을 다시 충족하게 되면, 해당 혜택을 재신청할 수 있습니다.
Q. 양도소득세가 비과세 되는 주택이 따로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임현상 세무사입니다.양도소득세는 부동산 양도 시 부과되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1세대 1주택 비과세는 주택을 2년 이상 보유하고, 조정대상지역에서는 2년 이상 거주해야 하며, 양도 당시 실거래가가 12억 원 이하인 경우 적용됩니다. 일시적 2주택 특례는 신규 주택을 취득한 후 1년 내 기존 주택을 양도하거나, 기존 주택 양도 후 1년 내 신규 주택을 취득한 경우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상속주택과 농어촌주택도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비과세 대상이 됩니다. 정확한 조건은 세법 개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