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출보험에 가입하려면 비용이 얼마나 들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지창규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ㅇ단기수출 보험료는 수입자 신용등급(또는 신용장 개설은행 소재국 공사 등급), 수출입자간 결제조건 및 보험기간에 의해 산정됩니다.참고로 개별보험 T/T 거래로서 수입자 신용등급이 D등급, 결제기간이 60days인 경우 보험요율은 평균 1%정도 입니다. 중소기업의 경우, 중소기업할인율 15%가 적용됩니다.ㅇ단기수출보험 약관에서 담보하는 위험 중에 하나가 수입국에서의 전쟁,혁명,내란 또는 천재지변으로 인한 그 수입국의 수입 불능입니다. **보험료 등 정확한 비용 및 수입국에서의 천재지변이 아닌 운송중 발생되는 천재지변에 대해서도 보상이 가능한지 여부는 한국무역보험공사에 문의해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https://www.ksure.or.kr/insur/sei_shipment01.do
Q. L/C 거래를 하다가 사기당하면 구제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지창규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ㅇL/C거래는 아시다시피 수입상이 신용장을 개설하여 은행을 통해 수출상에게 통지하고 수출상을 신용장에 기재된 조건에 충족하는 서류를 매입은행에 제출하고 은행으로부터 수출대금을 취하는 형태입니다.ㅇT/T거래에 비해 L/C거래가 안전하기는 하지만 사기의 가능성이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닙니다.ㅇ특히 후진국쪽 바이어의 경우 수출자가 제출한 서류의 철자 하나만 틀려도 서류 하자를 이유로 지급거절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신용장상에 조건을 너무 많이 설정한다든가, 제출하기 어려운 서류를 조건으로 건다든가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하자가 없는데도 불구, 물품의 하자를 이유로 지급거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ㅇ따라서 신용장 거래를 하시려면 -바이어측에 가 L/C를 달라고 하시어 받으신 다음 은행이나 기타 신용장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불합리한 조건이 있는지 확인해보시고-거래 이후에 지급거절로 인한 피해를 입을 경우에는 지급거절 사유를 확인하시어 바이어,개설은행,매입은행 등 관련 당사자와 협의해보시고 해결책이 안보인다면 국제소송을 진행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만약 사전에 이러한 모든 위험을 방어하고 싶으시다면 한국무역보험공사의 수출보험제도를 활용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Q. 공항에서 마약 단속을 피하는 경우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지창규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관세청에서는 데이터분석을 통한 전문화된 수사기법, 첨단 과학장비, 탐지견, 숙련된 마약조사요원을 활용하여 마약류 밀수 증가에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더불어서 경찰청이나 국정원 국제범죄정보센터와 공조하여 마약범죄조직에 대한 정보수집을 강화하여 조직원등 국제마약조직이 시도하는 밀수에 대해 적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이렇게 적발 및 단속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밀반입 수법도 갈수록 진화하고 있는게 사실입니다.비누 안쪽에 홈을 파서 은닉,액젓이 담긴 페트병 속에 은닉, 사탕인척 제품 속에 은닉, 화장품 형태로 만들어 은닉, 초콜릿안에 은닉 하는 등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힘든 기상천외한 방법을 총동원하여 마약을 밀반입하고 있습니다. 단속을 강화하고있지만 상황이 이렇다보니 100% 단속이 힘들고 밀반입을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다크웹이나 SNS를 통해 해외 판매자에게 주문한 마약을 공항이나 항만을 직접 거치지 않고 국제특송화물로 들여오는 사례가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X-RAY정밀검사를 한다해도 하루에 수만건씩 들어오는 특송화물을 전수 검사하기는 어렵지요.이처럼 국가적으로 마약 밀반입을 막기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지만 보시다시피 완벽한 차단은 어렵기 때문에 질문자님이 우리나라에 유통되는 마약이 많다고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