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눈이 쉽게 피로한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오메가3 같은 영양제들, 온열 찜질, 비타민A 안약 등은 눈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정도의 관리 방법으로 눈의 질환이나 눈의 피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먼 곳을 쳐다볼 때는 눈이 쉬고 있지만 가까이 사물을 볼 때는 눈이 쉬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일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한마디로 근거리를 주시할 경우 모양체근이 수축을 하게 되면서 두꺼워지게 됩니다. 즉, 핸드폰과 같은 전자기기 등을 가까이에서 오랫동안 볼 경우 눈의 깜박임이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눈의 건조증상이 심화되고 근거리를 주시하기 위해 안구가 계속 수축을 반복하면서 눈의 피로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핸드폰을 오래 하다가 먼 곳을 바라봐준다는 것은 곧 눈의 움직임을 쉬게 해주기 때문에 피로가 풀리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드는 것입니다. 보통 젊었을 때는 눈의 조절력이 좋기 때문에 카메라 줌 렌즈처럼 먼곳이나 중간 가까운 거리에 시선을 고정하면 바로 바로 눈의 근육이 조절을 하여 초점을 맞춰 무리없이 사물을 보게 되지만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눈의 조절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노안은 더욱 심해지게 됩니다. 보통 어떤 사물을 볼 때 잘 보이지 않고 집중도 안되고 눈이 아플때가 있다면 바로 눈의 피로한 상태가 대부분 많습니다. 보통 눈의 피로하다는 것은 눈 근육이 피곤한 상태로, 우리가 근육을 쓰지 않다가 과도하게 쓴다거나 즉 운동을 전혀 안하다가 축구나 농구를 한더던지, 과도하게 육체노동을 한 다음 날에 보면 근육이 땡기고 움직일때도 아프고 불편한 증상들을 느낄 수 있는 것처럼 눈 밖에도 눈을 움직이는 외직근, 하직근, 상직근, 내직근, 사아근, 하사근과 같은 여러 근육들이 있고 눈에서 렌즈 역할을 하는 수정체라는 즉 빛이 눈을 통과할 때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빛을 모아주거나 기능을 하는데 이 눈 속에 있는 근육을 모양체근이 있습니다. 가령 휴대폰을 보다가 TV를 쳐다봤을때 바로바로 초점이 맞지 않는다면 나이가 있으신 분들은 노안을, 비교적 젊은 분이시라면 눈 근육에 피로가 쌓여있다고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젊은분들의 경우 안구건조라든지 아니면 눈을 과도하게 사용하다든지, 아니면 수면부족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여러 원인때문일 수 있기 때문에 보통은 눈에 분비되는 기름의 양이 적고 증발하는 눈물의 양이 많아 안구가 건조한 상태로 눈의 피로도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참고가 되었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금주 하고 밤마다 상체에 두드러기가 심해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특별한 환경변화가 없어도 스트레스. 피곤함, 술, 가공식품 섭취, 피부에 자극을 주는 환경 등에 의해 두드러기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코올은 두드러기를 악화시키나, 금단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두드러기 유발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두드러기의 치료의 핵심은 과민해진 면역체계의 안정화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장기간 복용해도 매우 안전한 약물이기에 증상이 있을때만 복용이 아꾸라 당분간 꾸준하게 약물 복용을 하면서 생활습관을 조심하고 환자분 상태에 따라 의사가 약을 천천히 조절하면서 줄여가는 것을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습니다질문자님의 쾌유를 기원드립니다.
Q. 언제부터인가 공황장애 현상이 생긴것 같은데 정신과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운전하는 상황, 특히 터널과 같은 더욱 폐쇄된 공간을 운행하실 때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시는 것 같군요. 이것은 흔히 심한 불안 장애나 공황장애의 전형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폐쇄공포, 밀실공포, 광장공포 등 특정 상황에서 답답함 부터 심한 증상의 경우 극도의 공포에 심계항진이나, 마비, 과호흡 증상을 경험하게 되며 보통 흉통으로 처음 진료를 받게 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운전 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치료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아주 효과적입니다. 약물치료는 몇가지 항우울제 계열 약물과 항불안제의 사용으로 4주-8주간 치료 시 꽤 좋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점진적으로 공포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지행동치료 또한 효과가 아주 좋습니다. 인지행동치료는 잘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이루어지며 인지행동 치료를 시행하는 정신과 선생님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