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택청약통장을 가족에게 양도해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만약 질문자분의 어머님 통장이 주택청약종합저축일 경우 양도가 불가능합니다.양도가 가능한 경우는 2000년 3월 27일 이전에 개설된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의 경우만 가능합니다.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통합되어 시행되기 이전에는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 등으로 운영되었습니다.이 경우에는 2000년 3월 27일 이전 개설된 경우 양도가 가능하고,나머지는 명의자가 사망할 시 상속만 가능합니다. 즉, 양도할 수 없습니다.명의 변경이 가능하신 경우, 해당 은행에 방문하셔서 명의변경을 하시면 되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주식·가상화폐
Q. 주식으로 번 돈은 개인소득으로 잡히나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 종합과세양도소득, 퇴직소득 --> 분리과세대상입니다.주식으로 만약 배당금을 받았다면, 배당소득에 해당하나, 이자소득 + 배당소득이 연 2000만 원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종합 과세가 되지 않고, 15.4% 세율로 원천징수(자연스럽게 세금 징수)되게 됩니다.국내 주식으로 만약 매매차익(싸게 사서 비싸게 팔고 얻은 이익)의 경우 대주주가 아니라면 비과세입니다. (해외주식은 또 다릅니다)그런데, 금융투자 소득세, 금투세가 내년부터 시행된다면 그 이익이 5천만 원 이상일 경우 초과분에 대해 22%의 세금을 매기게 됩니다.ex) 삼성전자 주식으로 6천만 원 벌었다면,6천만 원 - 5천만 원 = 1000만 원내야 하는 세금 1000만 원 X 22% = 220만 원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중국의 봉쇄정책으로 인한 경제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 중국을 봉쇄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서입니다.2. 중국을 봉쇄하면, 중국 내수 시장부터 소비가 이뤄지지 않고 경제가 안 좋아지는 상황이 일어납니다.그렇다면 중국에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기업의 실적에도 문제가 생기겠죠.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도 중국에 수출하는 기업이 있다면, 문제가 생깁니다.중국에 있는 공장 같은 경우에도 봉쇄 정책으로 노동자들이 집에 가지도 못하는 상황이 생긴다고 합니다.애플 폭스콘 공장의 사례를 보면 공장 노동자들이 탈출하고 도망가서 생산에 차질이 있기도 했습니다.이러한 영향은 애플 제품 생산에도 영향을 끼칩니다.이처럼 중국 봉쇄의 영향은 세계 각국의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저축은 어떤식으로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나이가 어떻게 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우선 현금 30%, 투자자산(주식, ETF, 펀드 등) 40%, 채권 30% 정도로 포트폴리오를 추천해 드립니다.예를 들어, 질문자분이 지금까지 모으신 돈이 1억 있다고 가정하면현금 3천만 원 투자자산에 4천만 원채권 3천만 원 투자하는 것입니다.현금은 요즘 파킹통장(원할 때 수시로 입출금 할 수 있는 통장)도 3%대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그래서 정기예적금(정기적으로 정해진 금액을 일정 기간 납부해야 하는 상품)보다는 파킹통장에 현금을 넣어두시고 이자를 받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투자자산은 주식, ETF, 펀드 등이 있는데,종목에 대한 세부적인 비율을 말씀드리긴 어렵습니다. 각자 추구하는 성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채권은 지금 매수 시 높은 이자를 받아볼 수 있고, 금리(기준 금리)가 나중에 떨어지면 채권을 팔고 매매차익(샀을 때 가격보다 더 비싸게 팔아서 얻는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그리고 팔지 않더라도 만기까지 보유 시 정해진 금액을 받을 수 있어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그러나 현재 채권 관련 이슈들이 많은 상황이라 굉장히 우량한 등급의 국채나 공사채 위주로 매입하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월 320에 고정 지출이면 남는 돈은 250만 원인데,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자산의 비율을 계속 리벨런싱 해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리밸런싱이란?총자산이 1000만 원인 경우첫 달 1000만 원 --> 현금 300만 / 투자자산 400만 / 채권 300만두 번째 달 1250만 원 --> 현금 375만 / 투자자산 500만 / 채권 375만이런 식으로 재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주식·가상화폐
Q. 금투세.금투세 나오는데 금투세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금융투자 상품에서 발생하는 금융투자소득에 대해서 매기는 세금이 바로 금융투자소득세입니다.금융상품에는 주식, 파생상품, 펀드, ETF 등이 있고, 금융투자소득이 5천만 원 이하일 경우 비과세그 이상일 경우에는 초과분에 한해서 22%의 세금을 적용합니다.그 수익이 3억 원 이상일 경우에는 27.5%의 세금을 적용합니다.예를 들어, 2023년에 SK하이닉스에 투자하여 2억 원의 수익을 냈다면, 1억5천만 원 X 22%의 세금을 내게 됩니다.만약 3억 원의 수익을 냈다면, 2억5천만 원 X27.5%의 세금을 내게 되는 겁니다.원래 대주주가 아닌 경우 국내 주식에 대한 매매차익은 과세대상이 아니었습니다.그런데 금투세가 도입된다면, 대주주가 아니어도 수익을 5천만 원 이상 낼 때 세금에 내야 한다는 점에서많은 반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주식·가상화폐
Q. 환전시매도환율과 매매기준환율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저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시점의 차이가 있습니다.예를 들어,만약 에어비앤비 1주당 1달러 일 때, (에어비앤비는 가격이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하겠습니다)1. 달러를 증권계좌에 입금한 시기 -> 환율 1000원(1달러 천원)/ 1,000원을 주고 1달러로 환전2. 에어비앤비를 매수한 시기 -> 1주당 1달러 / 1주 매수3-1. 에어비앤비를 매도할 때 -> 환율 상승으로 1달러 1,200원 --> 즉 200원 이익(달러 가치상승으로 인한 환이익)3-2. 에어비앤비를 매도할 때 -> 환율 하락으로 1달러 800원 --> 즉 200원 손실(달러 가치하락으로 인한 환손실)이처럼 미국 주식은 "달러"로 거래가 되기 때문에 환율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주가 변동성도 고려를 해야 합니다)매매기준환율 --> 외국환 중개소 매매기준환율에 은행 자체에서 +- 적용한 환율환전시매도환율 --> 가지고 계신 주식을 팔고 달러를 원화로 환전했을 때의 수익률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