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식 비중 뜻이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마 질문자분께서 말씀하신 주식 비중은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2,000만 원 중 1,000만 원을 다음과 같은 주식에 투자했다고 생각하면,500만 원 -> 삼성전자300만 원 -> SK하이닉스200만 원 -> 네이버각각의 비중은 삼성전자 1,000만 원 중 500만 원 즉, 50%의 비중SK하이닉스 1,000만 원 중 300만 원 즉, 30%의 비중네이버 1,000만 원 중 200만 원 즉, 20%의 비중여기서 전체 자산 중 주식의 비중은?이라고 한다면, 2,000만 원의 절반인 1,000만 원에 투자했으므로,전체 자산 중 주식의 비중은 50%가 됩니다.이처럼 어떤 기준이냐에 따라 비중은 달라지니, 전체 자산 기준인지 주식 중 각 종목의 비중인지에 따라 비중의 뜻은 달라집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주식에서 피벗이라는 단어가 무슨 뜻이죠?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피벗은 원래 농구에서 볼을 잡고 있는 선수가 한 발을 플로어에 딛은 채(피벗 풋) 다른 발을 한 번 또는 여러 번 어느 방향으로든지 옮겨 딛으면서 찬스를 만드는 플레이를 말하는 데요.주식시장에서 피벗은 "정책의 전환" 말하는 것입니다.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가 계속 지속하고,사람들은 이제 금리 동결을 하거나, 금리 인하하는 정책 즉, 방향성을 바꾸는 정책의 전환(피벗)을 기대했습니다.하지만 바로 며칠 전 연준은 또다시 자이언트 스텝(0.75%)으로 인상을 하게 되었습니다.이처럼 정책의 전환을 피벗이라고 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주식 배당금을 받으면 주가는 그만큼 희석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선 시가총액의 개념부터 설명하겠습니다. 시가총액 = 발행된 주식 수 X 현재 주식의 가격(장부가가 아닌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으로 결정됩니다.배당금은 일반적인 현금배당의 경우, 시가총액에서 할당하는 것이 아닌, 기업이 1년간 낸 이익에서 어느 정도 배당할지 결정하고 배당을 하게 됩니다. 그러니 당연히 희석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업이 그 해 1,000억을 벌었으면, 그 일부(이익잉여금의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으로 배당하는 것입니다.그 금액의 결정은 주주총회에서 하게 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경제 초보입니다. 왜 미국은 물가를...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말 간단하고 알기 쉽게 답변을 해드리겠습니다.물가상승은 화폐가치의 상대적인 하락을 의미하기도 합니다.예를 들어 질문자님이 100원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때, 사과가 50원이라면 2개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사과의 가격이 상승해서(물가가 상승해서) 100원이 된다면, 1개밖에 구매하지 못하는 것이지요.이처럼 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은 화폐의 가치가 그만큼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화폐의 가치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습니다.그 방법의 하나가 바로 금리를 인상하는 것인데요.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시중에 많이 유통되던 화폐가 은행으로 모이게 됩니다. 그 이유는 바로 은행에 돈을 맡기고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시중에 유통되던 화폐가 줄어든다면 -> 화폐가 희소해지고 -> 그만큼 화폐의 가치는 상승합니다.(한정판 신발이 희소해서 리셀가격이 더 높게 팔리는 것처럼 말이죠)그래서 한국은행은 원화의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게 된 것입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번만 부탁드립니다 :)
Q. 금리가 올라가면 왜 물가를 잡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정판 신발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한정판 신발이 발매가 보다 비싸게 거래되는 이유는 희귀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리셀(되팔기)을 통해 발매가 보다 비싸게 거래가 되는 것이지요.발매가 20만 원 짜리 신발이 100만 원 넘게 거래될 수가 있습니다. 즉, 사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은데(수요가 큰데) 수량이 부족한(공급이 부족한) 경우입니다.만약 해당 신발의 물량이 아주 많이 풀려서 한정판이 아니게 된다면 그 가치는 어떻게 될까요?리셀가는 금방 떨어지고 말 것입니다. 더는 희귀하지 않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신발이 되었기 때문입니다.질문자님이 해주신 말씀처럼 금리가 오르면 은행에 돈이 묶여,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량이 현저히 줄어들게 됩니다.그렇다면, 화폐의 가치가 어떻게 될까요? 점점 희귀해지니깐 가치가 상승하겠죠?화폐의 가치가 오른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요?바로 물가와 관련이 있습니다.화폐의 가치가 오르기 전에는 만원으로 사과 10개를 살 수 있었다면,화폐의 가치가 오른 후에는 만원으로 사과를 20개를 살 수 있습니다.즉, 사과가 개당 1,000원으로 구매할 수 있는 것이,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면, 개당 500원으로 구매할 수 있죠.결론: 물가의 상승 -> 화폐의 가치가 떨어짐을 의미한다. 반대로 화폐의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금리 인상 등 긴축 재정 정책을 통해 시중 통화량을 조절하고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