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돈을 많이 찍어내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통화량이 늘어난다고 생각하지 말고, 다르게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요?지드래곤이 나이키와 콜라보 한 신발 기억나시나요?그 신발이 발매가 보다 더 비싸게 거래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바로 한정판이라 그 수량이 한정되어있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원하는 사람도 많고, 희귀하기 때문입니다.한정판이기에 그 신발은 다시 발매되지 않습니다.근데 만약 지드래곤이 똑같은 디자인으로 갑자기 엄청 많은 수량의 콜라보 신발을 푼다면 어떻게 될까요?너도나도 갖고 싶던 지드래곤 콜라보 신발이 엄청 흔해지겠죠?그만큼 리셀가(되파는 가격)가 내려가고, 결국 아무나 구할 수 있는 신발이 되어 그냥 발매가로 구매할 수 있을 것입니다.이처럼 통화량도 증가한다면, 그 화폐의 가치는 어떻게 될까요?가치는 떨어지게 됩니다. 흔해지기 때문이죠. "화폐의 가치가 떨어진다"라는 건 결국 물가와 직결됩니다.예전엔 아이스크림 하나가 100원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즉 1,000원이면 10개를 살 수 있었습니다.근데 요즘에는 아이스크림 하나가 1,000원 정도 합니다. 아이스크림을 1개밖에 구매하지 못하지요.그만큼 옛날 1,000원의 가치와 현재 1,000원의 가치가 달라진 것이고, 현재의 1,000원이 더 가치가 낮습니다.즉, 물가의 상승은 화폐 가치의 하락을 말하는 것입니다.그래서 물가의 상승을 막기 위해서는 반대로 화폐의 가치를 상승시켜야 하고,이를 위해서는 화폐의 통화량을 줄여야 합니다. 희소한 한정판 신발이 될 수 있도록 말이죠.그래서 기준 금리를 인상하는 것입니다.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예금 금리가 올라가서(고금리의 이자를 받을 수 있어.) 은행으로 돈이 모이기 때문이죠.또한, 기준 금리 상승으로 안전하게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만큼 투자(주식, 부동산)도 줄어들고, 소비도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경제에는 악영향을 끼칠 수 있죠.결국, 정부는 위와 같은 이유로 물가 상승을 안정시키기 위해 기준 금리를 상승시키는 정책을 펼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하이일드 정크본드가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하이일드 정크본드란 말 그대로, High Yield Junk Bond 고수익을 추구하는 정크(쓰레기) 채권입니다.채권은 돈을 갚기로 하고 발행하는 종이 문서입니다.즉, 발행자(회사)가 채권을 100만 원 발행하면, 투자자가 100만 원을 회사에 빌려주고 100만 원짜리 채권에서 발행되는 이표(이자)를 받다가 나중에 만기가 되면 100만 원을 회사에 돌려받는 것이죠.채권은 발행한 회사의 신용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게 되어있습니다. 만약 삼성과 이름 모를 A 기업이 있다면, 삼성의 채권이 더 안전할까요? 이름 모를 기업 A의 채권이 더 안전할까요?당연히 삼성이라는 기업의 채권이 더 안전할 것입니다. 여기서 안전하다는 것은 바로 투자자 입장에서 돈을 빌려줘도 나중에 돌려받을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하죠.이렇게 회사별로 신용등급을 각종 신용평가회사에서 나누게 되고, 그 신용 등급에 따라 채권의 이표(이자)나 가격 등 여러가지가 정해지게 됩니다.만약 엄청 약세하고 조그마한 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은 신용도가 매우 낮으며, 돈을 다시 못 돌려받을 수도 있으니, A기업은 투자자들에게 돈을 빌리고 엄청 높은 이표(이자)를 지급해야합니다.이 A기업이 발행한 채권이 바로 하이일드 정크 본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기준금리가 오르면 모든 금리가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의 경우예금 적금 금리 -> 수신금리대출 금리 -> 여신금리2가지로 나뉘며,은행의 경우 수익원이 예대마진(예적금과 대출의 마진차이)이므로 "수신금리 즉, 대출 금리가 10%일 경우 무조건 예·적금 금리는 10%보다 낮은 6~7%가 되는 것이고, 그 차이인 3~4%의 수익을 은행이 가져가는 구조입니다.보통의 경우는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대출 금리가 오르고 이에 따라 예금 금리도 오르게 되어 있습니다.위의 금리들은 지표금리 + 가산금리로 결정되고, 지표금리가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상승하는 금리이기 때문입니다.하지만 대출 금리 중에서도 전에 고정금리로 진행된 대출의 경우는 처음 약정한 고정 금리 그대로 쭉 가게 됩니다. 즉, 고정금리는 변동되지 않는 금리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처음 계약 시 다른 대출보다 금리가 높은 편이긴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금리는 기준금리보다 높게 정해지는 것은 맞으나, 이미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은 경우에는 그 금리가 나중에 기준금리보다는 낮은 경우가 될 수도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레고랜드 사태가 일반인에게도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레고랜드 사태로 채무불이행(간단히 돈을 못 갚겠다 선언)이 생기면, A 회사(돈 못 갚아!) -> A 회사에서 돈 받아야 할 B 회사도 돈 못 갚겠다 선언-> B 회사에 돈 받아야 할 C 회사도 못 갚음 -> ..............-> 연쇄적으로 이뤄집니다.이러한 회사들에는 당연히 금융기관도 있고, 금융기관이 파산하게 된다면?금융기관에 돈을 맡긴 개인들도 당연히 피해를 보게 됩니다.그래서 개인들도 피해 보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주가가 하락하면 배당금이 인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가가 하락해서 배당금이 인상되었다는 글이 아니라, 배당수익률이 올랐다는 글을 잘못 보신 게 아닌가 싶습니다.배당금은 주가의 변동과는 관계가 없고, 기업이 이익을 내고 그 일부(이익잉여금의 일부)를 주주총회에 따라 얼마나 언제 지급할지 결정해서 주주들에게 환원하는 것입니다.그러니 당연히 배당금과 주가와는 관계가 없습니다.주가가 하락하면 배당수익률이 오를 순 있습니다. 이 말은 배당수익률의 공식을 보면 이해가 됩니다.배당수익률 = 배당금/현재 주가 X100즉, 분모인 현재 주가가 하락하게 된다면, 배당수익률이 상승하게 됩니다.반대로 주가가 상승하게 된다면, 배당수익률이 하락합니다.숫자를 넣어서 예시를 들면, 배당금 100원 현재 주가 10,000원일 경우배당수익률 = 100/10000 X 100 = 1%주가가 상승해서 10,000원 -> 11,000원이 될 때배당수익률 = 100/11,000 X 100 = 0.9% --> 배당수익률이 하락합니다.주가가 하락해서 10,000원 -> 9,000원이 될 때배당수익률 = 100/9,000 X 100 = 1.11% --> 배당수익률이 상승합니다.위의 경우 배당금이 일정하다는 가정이 있습니다. 기업이 실적이 안 좋아서 배당금을 줄이거나 배당을 하지 않으면 위의 공식도 항상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