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가상화폐
Q. 어제밤 미국 증시가 급상승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증시가 급상승한 이유를 설명해 드리기에 앞서증시가 최근 계속 안 좋고 빠졌던 이유에 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연준은 올해 기준 금리를 급하게 상승시켜왔습니다. 바로 계속 상승하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이죠. 기준 금리를 상승시킨 결과로 시중에 있는 통화는 은행으로 쏠리게 됩니다.은행에 돈을 맡기고 고금리의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주식은 원금 손실도 날 수 있는 위험자산인데, 예·적금은 안전하게 4~5%의 수익을 낼 수 있으니 당연히 주식시장의 매력도는 떨어지게 됩니다.그래서 주식시장의 있는 자금이 대거 빠지면서 주식 시장의 하락을 불러일으키게 된 것입니다.반대로 어제 미국 증시가 급상승한 이유는 소비자 물가 지수(CPI)가 시장 전망치보다 낮게 나왔기 때문입니다. 이 말을 쉽게 하자면, 물가가 서서히 잡혀가고 있다고 볼 수도 있죠.물가가 잡힌다면? "이제 연준도 기준금리를 덜 올리거나 서서히 금리를 동결시키겠구나?"라는 기대가 주식시장에 반영되면서 급상승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주식·가상화폐
Q. 미국 CPI 지수와 관련한 금리인상 기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0.75%냐 0.5% 상승이냐를 두고 말이 많았는데, CPI 지수가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수준으로 나와서 0.5%의 가능성이 좀 더 높아졌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하지만 7.7%라는 수준도 여전히 상승률이 높은 편이고, 생각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것이기 때문에 연준이 생각하기에 물가를 더 잡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0.75% 상승시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주식·가상화폐
Q. 자산유동화 증권에 대해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자산 유동화 증권에 대해서 간단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자산 유동화 증권을 발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산이 있어야 합니다.보통 부동산, 매출채권, 유가증권, 주택저당채권 및 기타 재산권을 말하는 데요.그중에서 부동산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부동산의 특징은 거래 금액이 크고, 현금으로 바꾸기 쉽지 않은 자산입니다.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자산이 아니기 때문이죠.그래서 부동산을 가진 기업이 돈이 급하게 필요할 때, 부동산을 팔고 싶어도 못 팔고 현금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현금을 확보하고자 기업은 부동산을 SPC라는 자산 유동화 전문회사에 주고, 그 부동산을 자산유동화증권을 발행하게 됩니다.자산 유동화 증권은 해당 부동산을 잘게 쪼갠 증서라고 할 수 있는 데요.위의 경우 해당 부동산의 가격이 1억이고, 그 부동산에 대한 자산유동화증권이 만약 1,000개로 발행되었다고 가정하죠.만약 해당 부동산에서 월 1,000만 원의 월세가 나온다면,자산유동화증권을 1개를 가진 사람은 월 1만 원을 받을 수 있죠.그럼 자산유동화증권의 가치는 1억/1,000개 = 10만 원입니다.이처럼 기업은 현금 확보를 위해 부동산이라는 환금성이 떨어지는(돈으로 바꾸기 어려운) 자산을 자산 유동화 과정을 통해 현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주식·가상화폐
Q. 전쟁이 끝나면 주식시장도 좀 나아질까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전쟁의 영향으로 원자재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서물가가 상승하는 등 경제의 악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물가가 상승한다는 것은 소비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칩니다.예를 들어, 같은 1,000원이라도 물가 상승 전에는 사과 2개를 구매했다면,사과 가격이 700원이 되면 1개밖에 구매하지 못하게 됩니다.이처럼 개인들은 물건도 제대로 못 사게 되니 투자는 당연히 안 하게 됩니다. 그러니 주식시장으로 가는 투자자금이 거의 없는 것입니다.근데 만약 전쟁이 잡혀 물가도 안정적으로 잡힌다면, 여윳돈이 생겨 사람들은 투자할 돈이 생기는 것이죠.또한, 전쟁에 대한 불안으로 주식시장이 영향을 받은 부분도 있어 전쟁이 끝난다면 아주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예상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최근에 한국의 주식시장에 외국인의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중국 시진핑 3연임 및 코로나 봉쇄 정책 등 각종 중국 악재가 커졌고, 그로 인해 중국에 투자되었던 외국인 자본이 한국으로 유입되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입니다.그래서, 그 효과로 환율이 낮아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우리나라 주식 등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달러 -> 원화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며, 그로 인해 달러가 국내에 유입되기 때문)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