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식재산권을 뺏기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가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말씀해주신대로 권리를 등록받는게 중요합니다. 다만 권리가 "기술적 아이디어"라면 특허권을, 비교적 간단한 "구조관련 기술 아이디어"라면 실용신안권을, 상표는 상표권을, 창작물은 저작권을 통해 등록받아야 합니다. 하나의 창작물이 여러가지에 해당할 수도 있구요. 권리를 어떻게 설계하냐에따라서 추후 보호범위강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변리사를 통해 권리설계에 관한 상담을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서류또한 변리사가 전문적으로 작성해주어야 기재불비없이 등록가능합니다.
Q. 변리사를 취득하면 어떤분야에서 업무를 하나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특허, 상표, 디자인의 출원 업무를 주로 맡게됩니다. 예를들면 삼성전자의 대리인이되어 삼성전자측에서 출원을 등록받고자할때 그 특허서류 등을 대신작성해주고 등록과정에서특허펑의 통지에 반박 서류를 재출해주는것이죠.이외에 외회사가 한국에사 특허를 얻고싶어할때 그 서류를 번역하는 업무, 특허의 가치를 감정, 평가하고 거래를 중개하는 업무 등 다양한 업무를 소화합니다.
Q. 변리사의 공부량은 얼마이며 어느정도의 수험기간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변리사입니다.1) 보통 최소 2~3년의 수험기간을 잡습니다. 물론 예외적으로 1년정도 이내에 합격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전체 합격자 중 10% 미만입니다.2) 과목은1차: 민법, 특허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이렇게 세분화해서 총 8과목입니다. 과학과목들은 대학교 1학년 정도 난이도까지라고 생각하시면 적절할 듯 합니다.2차 민사소송법, 특허법, 상표법,선택과목 이렇게 4과목입니다.선택과목은 유기화학, 회로이론, 제어공학, 저작권법, 디자인보호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전체공부량은 매우 많습니다. 공부양이란게 표현이 애매한데, 시간으로 따지자면 최소 2~3년간 거의 매일 공부만해야 소화가능한 정도의 분량입니다.시험은 실질적으로 상대평가이며, 1차 7대1, 2차 7대1 정도의 난이도입니다. 둘 다 통과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