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부산국제영화제는 올해는 몇회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23년 10월 4일에서 14일까지 열릴 예정인 부산국제영화제는 올해로 28회째로 알고 있습니다. 첫 개막은 1996년 9월13일에 설립됐으며 매년 10월에 첫째주 목요일에 열리고 처음에는 남포동에서 시작됐으나 현재는 해운대 영화의 전당에서 개최됩니다. 부산국제단편영화제도 있는데 이 영화제는 40회를 맞이하였습니다.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영화에서 장르나 특징을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화 장르의 구별은 몇가지 방법으로 구별할수 잇는데요. 대표적으로 주제와 배경, 그리고 표현방법에 따라 구별할수 있습니다. 가장 쉬운건 표현방법이 그림이다 하면 애니매이션이고 포스터에 폭발이 있거나 역동적인 모험이미지가 있다면 액션에 가깝겠지요. 남녀사랑느낌이 나오면 로맨스이구요. 혹은 영화에 나오는 배경이 황무지에 서양이면 서부영화겠네요. 이런식으로 배경이나 연출로 빨리 파악할수 있겠습니다. 그 외에는 영화를 보면서 영화가 말하는 주제를 보며 좀더 심도깊게 장르를 이해할수 있습니다.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설치미술 중 바나나를 관람객이 먹었다는데 문제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설치미술의 경우는 일종의 작가가 관객에게 전달하고자하는 개념이나 메세지를 내보이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이런일이 작품훼손일때도 있지만 관객의 피드백으로 다가올때도 있다고 하네요. 설치미술은 개인이 소장하는것이 아닌 대부분 그 장소에 전시되서 공개되는 일회성 성격이 있기때문인것 같습니다.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미술작품 창작에 대한 자신감 상실을 이겨낼 방법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창작이란 정말 고통스러운 작업인것 같습니다. 특히 요즘시대에는 이미 너무 많은 작품들이 만들어져있어서 겹치지 않고 나만의 것을 만들어낸다는것이 쉽지 않은 시대같아요. 게다가 이쪽 분야에 일한다는것은 끊임없이 우수한 사람들의 작품을 보면서 영향받고 좌절받는 경험도 많은것 같구요.개인적으로 창작에 대한 자신감은 내면을 들여다보는데 먼저 있는 것 같습니다. 이제는 더이상 새로운 무언가를 이끌어내기는 어려운 시대같거든요. 그럴수록 뭔가 대단한것들 창조해내기 보다는 내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를 확실히 알고 외부의 시선이나 말에 흔들리지 않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뜬구름 잡는 얘기 같지만 쉽게 예로 들어본다면, 꽤 그림을 곧잘 그리긴하는데 내가 그린 작품에 대해 설명을 주저하고 타인이 자신의 작품을 때론 칭찬하고 때론 비판할때마다 휘둘리는 경향이 있는 모호한 사람과, 그림을 별로 잘 그리지 못하는것 같은데 자신이 뭘 표현하고자하는바가 확실하게 설명하고 타인의 비판에 신경쓰지 않고 자기 작품에 확신이 있는 사람을 놓고 보는거지요. 그럼 분명 그림 실력은 전자가 뛰어난데 그 작품을 바라보는 관객의 마음은 후자로 기울때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기안이나 침착맨 같은 분들이 뭔가 엄청난 창작을 해내는것은 아니지만 그들이 뚝심있게 살아온 삶의 흐름이 다 작품에 녹아 있는 것이잖아요. 요즘은 이런 시대인거서 같습니다. 창작은 곧 나라는 사람이 어떤 생각과 신념을 가지고 변해왔는가를 스스로 잘 알고 표현하는 역사가 아닐까요. 추가로 그림 뿐만이 아닌 미술사와 문학적 탐구도 함께 한다면 더 좋은 작품을 그리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응원합니다
2023년 5월 9일 작성 됨
Q.
요즘 역사소설이 참 재미있고 관심이 갑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소설 잘 맞으면 참 재미있고 흥미롭지요. 사실을 기반으로 하다보니 더 그런것 같습니다. 역사소설의 대표적인 작가는 김진명 김훈 조정래 박완서 등이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은 책은 김훈 작가의 [칼의 노래] [남한산성]입니다. 특히 칼의 노래는 이순신 장군의 기록을 소재로 했는데 김훈작가의 문장력이 매우 뛰어나서 문학적 묘사도 훌륭했습니다. 그 외에는 김진명 작가의 [고구려]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