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의 금주법으로 오히려 술꾼들이 늘었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에서 전국적인 금주법은 1920년부터 1933년까지 지속되었는데요. 당시 주취로 인한 폐단으로부터 개인과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금지령이 제정되었습니다. 금주법 초기에는 알코올 소비가 금주법 이전 수준의 약 30%로 급격히 감소했음을 발견했었지만 그 후 몇 년 동안 금주법 이전 수준의 약60-70%가 급격히 증가함으로서 완전 실패하게 되었는데요. 이는 주류의 불법 생산과 유통 또는 불법 밀매가 만연했고 중앙 정부는 미국의 모든 국경, 호수, 강, 주류 밀매점을 시행할 수단이나 의욕이 없었습니다. 결국 알코올에 관련된 조직 범죄의 증가, 밀수 증가, 세수 감소 등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여 실패하게 됩니다.
Q. 환경예술이라는 장르가 있나요? 환경을 소재로 작품을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환경예술이라는 카테고리도 존재합니다. 일종의 운동이이기도 한데요. 1960년대 Nils Udo, Jean-Max Albert 및 Piotr Kowalski와 같은 유명한 개인이 이러한 형태의 예술 표현을위한 길을 열었을 때 등장했습니다.환경예술은 생태 예술이라고도 불리울수 있는데요. 지구의 자연이 생명력있는 자원으로서 지속 가능하게 하는 패러다임을 제안하는 예술적 실천 또는 학문입니다. 이 장르는 자연에서 영감을 얻거나 자연을 원료로 사용하여 환경의 아름다움을 전달하고, 사람들에게 생태문제의 인식을 높이고 환경을 돌보도록 격려하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채택한 운동입니다.대표적인 작가로는 아그네스 데네스, 로버트 모리스, 크리스 조던이 있는데요. 로버트 모리스는 개념미술작가로도 잘 알려져있는데 환경예술에도 관심이 많은 작가입니다. 미니멀리즘적인 작품이 인상적입니다. 하지만 특히 소개해드리고 싶은 작가는 크리스 조던인데요.크리스 조던(Chris Jordan)은 시애틀에 기반을 둔 예술가이자 변호사입니다. 이 조던의 작품은 시각적으로 꽤 충격적인데요. [소비주의 문화 폭로]라는 작품을 보면 죽은새와 쓰레기 플라스틱등을 조합하여 예술작품을 만들었습니다. 이 작가는 사진과 기술 및 디지털 도구를 결합하여 Jordan 자신이 "슬로우 모션 종말"이라고 묘사하는 예술 작품을 만듭니다. 이런 작품으로 크리스조던은 인간이 환경과 지구를 얼마나 쉽게 파괴하는지 상기시켜준다는 면에서 환경예술의 의도를 쉽게 알수있게 해주는 작가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