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안녕하세요 사유의 확장 예술 향유를 통해 인생폭을 넓혀봐요

신현영 전문가
티핸즈
미술
미술 이미지
Q.  지금 중3인데 언제부터 미술학원에서 공부해야 될까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따님 분이 미술을 좋아하고 관찰력이 좋으신것 같아요 ^^ 미술을 전공한 입장에서 아주 좋은 재능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미술을 전공하는데 있어 앞서 성공한 여러 선배들을 봤을때, 단순히 미술적 기술도 중요하지만 그 안에 담긴 사유와 철학 여러 정보들이 자신만의 컨텐츠를 만들어내는데 큰 도움을 주고 성공하더라구요. 그래서 제 생각은 학업도 꼭 게을리하지 않고 챙기시면서 고1~2부터 본격적인 준비를 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것 같습니다. ^^ 주말마다 함께 좋은 명작 작품도 보시면서 대화 많이 해주셔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얼마전 꿈에 신기한 경험을 했습니다. 해몽이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북극곰 자체에 대한 상징은 일종의 생존력과 독립성 두려움을 이겨내려는 의지 결단력을 의미한다고 봅니다. 하지만 단순히 그 동물이 상징하는 의미만 보면 안되고 그 상징이 처한 상황도 같이 보아야합니다. 만약 북금곰에게 쫓기거나 다치는 꿈은 아닌것 같고 꿈에 곰이 단순히 나왔다면 곰을 보기만 한 상황일수 있겠습니다. 보기만 하는 꿈은 좀더 스스로 힘을 가져오고 의지를 다지는 뜻이 아닌가 싶네요. 아마 다큐를 보시고 나서 지구 환경에 두려움과 함께 해결의지가 생기신것이 꿈에 나타난것이 아닐까요? 의지가 강하신 분일것 같습니다. 환경 보호를 위해 개인이 할수 있는것을 하나씩 실천해보는것도 꿈에 대한 좋은 행동일거 같아요 ^^
음악
음악 이미지
Q.  클래식이 처음 나타나게 된 때는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클래식 Classic 은 원형의, 고전, 명작, 고대 그리스 로마적, 을 말하지만 일반적으로 클래식이라 하면 클래식음악으로 불리우는데요. 이 클래식 음악은 대표적으로 18세기 중반부에서 부터 19세기 초에 이르기까지의 고전음악을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익히 아는 모차르트 베토벤 하이든 등이 고전 클래식을 부흥하게 한 주인공 들 중 유명한 사람들이지요. 하지만 그 이전부터 클래식의 태동이 싹텄는데요. 시대로 이야기해보자면중세시대는 종교가 모든 문화를 아우르는 중심 주제였기때문에 음악역시 하나님께 찬가를 바치는 형식의 성스러운 예배음악이 대세였고 사용하는 악기도 반주의 역할을 담당했습니다.이루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 클래식 음악의 유래라고 할법한 여러 멜로디가 동시에 연주되는 스타일이 반전됩니다. 이후 우리에게 익숙한 바로크시대(바흐.헨텔.비발디) 고전시대(모차르트 베토벤) 낭만주의시대(쇼팽 바그너등) 까지 클래식이 발전하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엘리자베스가 여왕이던 시절에 영국이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이길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당시 유럽에서 카톨릭이 모든 대륙에 영향을 끼치는 종교였으나 섬나라의 특수성으로 영국은 카톨릭의 지배가 덜했습니다. 해서 엘리자베스 여왕이 종교개혁에 성공하고 카톨릭과 개신교가 공존하는 것이 가능해졌지요. 이를 두고 볼수없었던 교황은 카톨릭 지배아래 가장 강한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영국에 출정시켜 카톨릭 아래 두라는 명령을 하게 된 것이 이 전쟁의 원인입니다. 무적함대의 위용이 대단했으나 당시 영국에서는 헨리8세가 철대포를 발명하게 된것이 승리의 큰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무적함대의 배는 아랫단이 뾰족한 첨저선의 형태라 대포를 쐈을때 흔들림이 심해 명중률이 낮다면 영국함대는 아래가 평평한 평저선으로 되어있어 대포 명중률이 좋았습니다. 결국 무적함대는 허둥대다 포탄을 다 써버리는 실수를 하고 말았고, 이후 선체가 커서 이동이 쉽지 않은 무적함대에 비해, 명중률은 좋고 사정거리는 더 길며 작고 빨리 이동한 영국 함대가 활약하기 시작하면서 스페인 무적함대를 일부 침몰시킵니다. 또한 당시 스페인 함대의 추가 합류가 늦어지면서 일종의 각개격파를 당하게 되고, 그렇다해도 대패까진 아니었던 무적함대가 영국함대를 피해 북쪽으로 피하는 과정에서 폭풍우까지 만나는 불은을 겪게 되어 그 사고로 인해 대부분의 함대를 잃어버렸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옛날사람들은 아프면 어떻게 치료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나라 시대마다 의사들의 의술이나 치료 방식이 너무나 다양합니다. 말씀하신대로 대부분 과학 의학적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의사의 오랜 경험에 의지한 방식 혹은 종교와 결합된 방식으로 치료 된걸 볼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당시 유럽에서는 씻으면 병이 생긴다 하여 프랑스 왕은 일년에 하루도 씻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한 치아가 있는것이 만병의 근원이라 하여 생니를 뽑아버린 것으로 유명합니다. 당시 천연두나 유행병이 만연할때 서민들이 더러운 진흙과 물이 있는곳에서 사는것을 보고 물을 피한다던지 치아로 인해 고름과 고통을 당하는것을 보고 아예 제거해버린 식으로 치료를 행한것이죠. 여자가 아이를 낳는것 역시 열악했는데요. 당시 출산은 의사가 아닌 산파에게 의지하였던것을 보면 출산 역시 오래된 경험을 토대로 아이를 받는 일에 불림을 받았다고 보여지네요. 대부분 자연분만 이었고 평생 아이를 낳다 죽음에 이르는 여자들이 많았습니다. 심지어 왕비의 경우 혈통이 중요한 경우 난산이 되었을때 산모 배를 갈라 아이를 취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예를들어 로마 초기시대에 임신한 여성이 사망하면 배를 갈라 아이를 꺼낸다는 법까지 만들어졌습니다. 현대인들이 아는 제왕 절개는 아니지만 역사적으로는 처음 인정된 제왕절개라고 볼수 있습니다. 제왕절재는 가끔 시행됐지만 거의 다 산모의 사망으로 이어 졌고 1890년도에 들어서야 보스톤에서 마취를 통한 정식 제왕절개술에 성공했다고 하네요. 그 이전시대는 출산 자체가 여성의 목숨을 건 행위였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1861871881891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