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계공학 관련 취업 분야는 어느 분야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은 현대사회에서 빠지는 부분이 거의 없습니다.크게 나누면기계, 로봇, 자동차, 일반산업, 항공우주, 군사, 철도 , 물류, 조선해양, 재난안전소방,정밀생산 플랜트, 일반요소 부품, 생산설비, 마이크로 나노 등으로 나눌수 있고실질적 기업으로는삼성 엘지 현대자동차 기아, 두산, 현대중공업, 현대모비스, SK이노, SK하이닉스 엘지 산전, 지멘스 등 다영하고그외에한전이나 한국수자원, 원자력한국생산기술원 한국기계연구원 등의 연구소도 가능합니다.고시로기계직 공무원 및 군무원, 기술고시 5급도 가능합니다.
Q. 자동차 관련 업종도 기계공학으로 속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의 분야가로봇, 기계. 자동차, 항공우주, 조선해양, 철도, 생산설비 등분야가 엄청 광범위 합니다.자동차공학이 기계공학의 일부이기 때문에당연히 자동차 생산 쪽도 기계공학의 일종이라 할 수 있습니다.생산직에 응시함에 있어서사실 기계를 막 고치고 하는 부분은 아니지만은기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는 것이유리하게 작용하므로응시에 있ㅇ서자동차관련 자격증예를 들면 자동차기계공학기사 나 자동차정비사 등의 자격증이 있는 것이 유리하게 작용합니다.일한적으로 학력 등이 가산점에 반영되나관련분야 자격증이나 관련분야 업무 이력 또한 이득이 되겠습니다.결론적으로 전문성 강화가 도움이 되는 것이므로,관련 학력, 자격증, 업무이력 등이 전문성을 객곽적으로 판단 할 수 있는증거가 되겠습니다.건승을 빕니다.
Q. 기계공학 관련 일 하시는 분들은 기계를 잘 다룰줄 알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을 공부함에 있어서4대역학을 공부하는 이유는기계를 다룸에 있어 어떠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지를미리 예상해야 하기 때문이지요.또한 그런 부분까지 생각해서설계, 제작 , 공정설계, 수치계산 등을 해야하는 부분이기에기계를 잘 다루는 부분이 어드벤티지는 될 수 있겠습니다.다만 기계공학 분야로봇, 기계, 자동화, 자동차, 항공우주, 군사, 조선해양, 철도, 물류, 정밀생산, 생산설비, 플랜트,마이크로 나노 등등의 분야에서최하위 클래스가 아니라면(예를 들면 공고출신 밀링 선반공 등)직접 기계를 다룬다기 보다는 연구나 설계, 작업지시 관리자가 될 것이기에기계를 꼭 직접 잘 다뤄야하는 것은 아니지만그래도 기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충분하려면잘 다뤄야 이해가되는 부분이기에서로 복합적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