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김상규 전문가
(주)남부공항서비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기계공학에서는 어떤 개념을 배우나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이 적용되지 않는 분야가 없을 정도로기계공학의 분야는 광대합니다만반드시 기본적으로 배워야하는 부분은 있습니다.4대역학동/정역학, 열역학, 유체역학, 재료역학 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고거기서 더욱 나아가 일반물리학, 일반화학, 미적분학, 공업수학 등이 기반이 되야합니다. 거기서 기본적인 코딩을 위해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워야하고기계설계, 기계제작, 공정설계. 수치계산, 공학설계유체기계, 진동학, 계측시스템설계, 기계공작 , 컴퓨터설계, 열동력, 자동차공학시스템설계, 유체기계설계, 탄성학설계, 동력기계설계, 수송기계설계, 융합기계설계, 자동제어, 기계역학, 탄성학, 계측공학, 공기역학.. 등할 것이 무진장 쌓여있습니다...그래야만로봇, 기계. 자동차, 일반산업, 항공우주, 조선해양, 군사, 철도, 물류, 정밀생산,부품생산설비. 플랜트, 마이크로나노, 등..적용되는 분야로 진출가능 하겠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산업안전기사에 나와있는 단어인데 잘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시는 주수(注水)라는 단어는소화방식 중 냉각소화에 나오는 단어로물을 주입한다! 라는 뜻을 한자로 써놔서그렇습니다 물을 이용해 연소물 온도를 발화점이하로 낮추는 소화방법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통 화재 때의 주수소화는물의 증발시 증발잠열이 크므로 그성질을 이용한 방법입니다물의 주수 형태로는봉상주수: 열용량이 큰 일반 고체 가연물 및 대규모 화재에 유효함적상주수: 물방울의 직경이 0.5~0.6mm로서 실내 고체 가연물 화재에 사용됨무상주수: 분무 노즐에서 고압으로 방수시 나타나는 안개모양으로 주수하는 것으로 물방울의 직경이 0.1~1.0mm 중질유 화재에 적합함으로 나눌수 있겠습니다.쉽게말해서 뿌려지는 물 모양으로 분류되는겁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네비게이션에 나오는 내차량의 속도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둘의 방식이 모두 정확하다는 가정하에 둘은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자동차 계기에 표시되는 속도는 실제 속도보다 5~10km/h 가 높게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됩니다.아시다시피 실제 도로에서갑자기 속도제한 단속카메라를 맞닥뜨렸을 대급격한 감속같은 경우 위험할 수 있고딱 정확하게 속도제한을 맞추기위한 노력이 운전에 방해ㅜ및 위험할 수 있기에계기판 속도는 실제 속도와 는 살짝 다른걸로 압니다.둘의 속도 측정방식은자동차는 바퀴회전 수 측정네비는 GPS위치추적따른 계산 으로완전히 다른 방식 입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온도계 RTD랑 썸머커플 처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RTD는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열을 받으면 금속의 저항이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한 온도계입니다. 금속에 열을 가하게 되면 원자와 분자는 여기상태가 되고 그 상태에서 자유전자가 통과하기 위해서는 원자 또는 분자와 충돌을 하게 됩니다. 즉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면 저항의 값이 변화함에 따라 전압이 변화하게 될 것을 알수 있습니다. 온도가 물질의 저항을 변화시킬 경우의온도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RTD 주재료는 보통 백금을 쓰는데백금은 0℃에서 100Ω의 저항을 가지고 100℃에서 138.5Ω의 저항을 가지게 됩니다. 백금을 사용한 RTD를 PT100이라 표기하는데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제가 근무하는 곳 장비에도 온도센서로 많이 사용됩니다써모커플은 열전대라고도 불리는 온도계로 서로 다른 두 금속의 한쪽 끝을 접합하고 반대쪽 끝을 단자대에 연결한 형태입니다그 다음 전압계로 단자대에 연결한 후 전압을 측정하는 원리를 사용합니다. 써머커플은 접합하는 두 개의 금속의 종류에 따라 온도의 측정 범위도 다릅니다.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니켈과 크롬 혹은 알루미늄을 연결한 K Type으로 -200℃ ~ 1260℃ 범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포텐셜에너지의 개념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포텐셜에너지는기계적 분야에서 볼 때중력 에 따른 위치에너지가 대기하고 있는 상황과탄성력에 따른 복원력이 대기하고 있는 상황으로나눠질 수 있겠습니다.이런 종류의 힘을 일번적으로보존력이라합니다.중력과 탄성력 외에정전기력 자기략 등도 보존력이고이 경우의 위치에너지는전위 , 자위가 되어전위차 자위차가 생기면 포텐셜에너지가 발생하겠습니다.양자역학에서 볼 때전자 또한 포텐셜 에너지를 가지는데요원자핵에서 먼 궤도에 있는 전자의 위치에너지(잠재에너지)가 원자핵에서 가까운 궤도에 있는 전자보다 큰 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외곽 전자가 내부 궤도로 양자도약할 때 에너지가 방출되는 것입니다.(물이 낙하할 때 위치에너지로수력발전 터빈을 돌리는 것과 동일합니다)이 때 전자의 양자도약 시에는빛에너지로 방출됩니다
2612622632642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