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마음소통 아동전문가 천지연 입니다.

마음소통 아동전문가 천지연 입니다.

천지연 전문가
어울누리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현장학습 조 친구들이 마음에 안들어서 학교를 안가려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현장학습 조별로 가야함에 있어서친구들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라는 이유로 인해서 학교에 가고자 하는 많이 들지 않는다 라면먼저 살펴 볼 것은 학교 내에서 아이와 친구들의 관계에서 어떠한 문제가 발생 되었는지를 부터 파악하는 것입니다.그리고 이러한 일들 속에서 친구들의 잘못된 부분이 크다면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통하여 친구들의 행동지도를 부탁 하는 것이 좋구요.그러나 우리 아이의 잘못된 부분이 적지 않아 있다라면 부모님은 아이의 행동적 지도를 해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며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을 해 준 후,학교에 가야 하는 이유와 조별 과제를 수행 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 때문인지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눈높이 설명을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계속 흠흠.. 이러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흠흠 거리는 부분은 틱장애로 인해 그럴 수 있습니다.하지만 정확한 진단은 섣불리 내릴 수 없사오니이는 소아과의 내원하여 소아전문의 소견을 듣고 정확한 진단을 받은 후 치료를 하는 것이 적합 하겠습니다.또한, 감기로 인한 질병으로 인하여 목 이물감으로 인해 불편함으로 그럴 수 있구요.스트레스를 받았거나, 부모님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이러한 행동의 변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먼저 아이에게 안정된 애착을 형성 해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아이에게 사랑, 관심, 애정을 아이가 직접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언어로, 행동으로 자주 표현해 주도록 하세요. 아이의 스트레스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아이의 심리적 + 정신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구요.아이의 행동적인 부분의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면 소아전문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이미지
Q.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임명된다면 앞으로의 정책과 이를 이끌 적임자라고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은 문 정부 시기에 코로나19을 잘 대처하여 그 위기를 극복하게 해준 장본인 입니다.이러한 분이 이 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역임을 하여 이 일을 수행 하신다면그 동안 하셨던 노하우를 통해 적절한 하게 위기 상황을 극복하여 충분히 복지 정책을 잘 이끌어 내 실 수 있는 부분이 크다고 보여질 수 있겠습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이미지
Q.  날이 갈 수록 수감자들 중에 노인들이 왜 감옥에 더 많이 들어오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26% 이르는 세계 최고의 고령국가 일본은고령자들의 범죄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요.이른바 사고를 치는 고령자가 늘어나면서 교도소의 고령화와 고령 재소자의 건강 문제가 새로운 사회적 과제로떠오르고 있기 때문 입니다.고령자들의 범죄율이 높아지고 있는 배경을 전문가들은 가족 및 사회와의 단절이 자리하고 있다는 지적을 하였습니다.그러나, 어떠한 범죄를 막론하고 모든 범죄의 행위가 노인들의 문제점 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요즘 들어 아이가 자꾸 말대답을 하기 시작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말대답을 한다 라는 것은 자신의 기분과 감정을 고대로 다 전달을 하는 부분이 많다 라는 것인데요.이러한 부분의 큰 이유는 초등학교 3학년 이면 자기주장이 확실한 부분이 확고하기 때문 입니다.하지만, 자기주장도 전달하는 것도 좋지만, 어른이 전달하는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을 거침없이 드러내는 것은 바람직한 태도는 아니기 때문에 이는 적절치 못한 행동 이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아이가 말대답을 하면 그 즉시 단호하게 어른에게 말대답을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구요.자신의 뜻을 전달하고자 한다면 어른의 이야기가 다 끝나면 그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해야 함을 알려주도록 하세요.
1561571581591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