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을 갖고 나중에 책을 발간할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블로그에 올린 글을 모아 책으로 출간할 수 있습니다. 출판 방식은 자비 출판, 독립 출판(KDP, 부르크 등), 출판사 계약 등이 있으며 선택에 따라 준비과정이 달라집니다. 원고를 정리할 때는 글의 흐름을 고려해 재구성하고, 가독성을 높이도록 수정해야 합니다. 또한 인용한 자료나 이미지의 저작권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Q. 문학 미술 음악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포스트 모더니즘 사조가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떤 사건이나 발생 동기가 있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포스트 모더니즘이 문학, 미술, 음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이유는 20세기 기술발전, 대중문화의 확산, 다원주의, 기존 질서에 대한 반발 등이 모든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전통적 형식과 가치를 해체하고 혼성적이고 실험적인 방식으로 예술을 창조하는 경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습니다.
Q. 글을 쓸때도 형식이라는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글을 쓸 때도 형식이 존재합니다. 글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구조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독자의 이해를 돕고 글쓴이가 효과적으로 의도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논설문은 주장, 근거, 반론과 반박, 결론의 순서로 구성되며 설명문은 주제를 제시한 후 개념을 정의하고 예시를 들어 설명한 뒤 결론을 맺습니다. 또한 이야기를 담은 서사문은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흐름을 따르며 편지는 인사말, 본문, 맺음말, 서명의 형식을 갖춥니다. 시는 운율, 이미지, 상징 등을 활요하여 감정을 표현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형식을 따름으로써 글의 논리성과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Q. 단어를 설명할 때 작은말, 큰말이라는 것이 있던데 작은말과 큰말은 무엇을 의미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작은말과 큰말은 단어의 발음, 지역적 차이, 의미적 뉘앙스에서 나타나는 구분입니다. 작은말은 보통 짧고 가벼운 발음이여 큰말은 더 길거나 강한 발음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이랑'은 작은말, '하고'는 큰말에 해당합니다. 또한 방언에 따라 같은 뜻의 단어가 작은말과 큰말로 나뉘기도 하며 작은말은 친근하고 가벼운 느낌, 큰말은 격식 있고 강조하는 느낌을 줄 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