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박에녹 전문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 국어교육전공 석사
Q.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에서 여성의 타자성 개념은 비단 여성뿐만 아니라 모든 소수자 집단에도 적용이 가능한 개념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시몬 드 보부아르는 제2의 성에서 여성이 역사적으로 남성에 의해 타자로 규정되었다고 주장합니다. 남성이 보편적이고 중립적인 주체로 자리잡은 반면 여성은 상대적이고 부차적인 존재로 인식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타자성 개념은 단순히 여성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사회에서 소수자로 취급받는 다양한 집단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종적 측면에서 백인이 보편적 인간으로 간주되는 반면, 유색인종은 주변적인 타자로 규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프란츠 파농은 검은 피부, 하얀 가면에서 식민지 주민이 백인의 시선 속에서 열등한 존재로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하며 이는 보부아르의 여성 타자성과 유사한 구조를 가집니다. 마찬가지로 성소수자는 이성애 중심 사회에서 정상성의 바깥에 위치하며 비정상적인 존재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디스 버틀러는 젠더 트러블에서 젠더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하며 보부아르의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말과 연결되는 논의를 전개했습니다. 계급적으로도 타자성 개념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부르주아 계급이 사회의 중심을 차지하면서 노동자 계급은 주변적인 존재로 밀려나는 구조를 보입니다. 이는 카를 마르크스와 프레드리히 엥겔스가 분석한 계급 투쟁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이처럼 보부아르가 말한 타자성 개념은 성별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의 지배-종속관계를 설명하는 도구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결국 보부아르의 타자성 개념은 현대 페미니즘 뿐만 아니라 탈식민주의 퀴어이론, 계급분석 등 다양한 사회비판적 담론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는 여성이 역사적으로 경험해 온 타자성이 단순히 개별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반의 권력 구조 속에서 반복되는 보편적인 현상임을 보여줍니다.
Q.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에서 제시된 여성의 독립과 창작 조건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에서 제시된 여성의 독립과 창작조건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울프는 여성들이 창작을 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자립과 개인적인 공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녀는 과거 여성들이 창작활동을 방해받아 온 사회적 환경을 비판하며 여성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조건으로 경제적 독립과 자기만의 공간을 강조했습니다. 오늘날에도 많은 여성들이 여전히 성별에 따른 사회적 제약과 불평등을 겪고 있으며 창작활동을 위하 시간과 자원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많이 완화되었지만 예술과 문학 분야에서도 여전히 남성 중심의 사회구조가 존재하고 여성 작가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온전히 내기 위한 조건이 완전히 갖추어 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울프가 제시한 여성의 창작 조건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경제적 자유와 독립적인 공간은 오늘날에도 여성들이 자신만의 작품을 창조할 수 있는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Q.  제우스의 선물이었던 탈로스가 무너진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탈로스느 제우스가 크레타섬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청동 거인으로 그의 몸은 단단했지만 발목에 있는 단 하나의 정맥이 약점이었습니다. 아르고호 원정대가 크레타섬에 도착했을 때 마법사 메데이아가 그를 속이거나 최면을 걸어 방심하게 만들었습니다. 결국 탈로스는 실수로 자신의 약점을 드러내고 공격을 받아 발목의 봉인이 풀렸고 신들의 피인 이카로스의 피가 모두 흘러나와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Q.  트로이전쟁 귀환중 오디세우스가 폴리페모스에게서 탈출한 방법은?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오디세우스는 폴리페모스의 동굴에 갇히지만 지혜를 발휘해 탈출합니다. 그는 거인을 방심시키기 위해 술을 건네고 자신의 이름을 '아무도(우데이스)'라고 속입니다. 거인이 취해 잠들자 오디세우스와 부하들은 불에 달군 막대로 그의 외눈을 찔러 실명시킵니다. 다음날 거인이 출입구를 막고 사람을 찾으려 하자 오디세우스 일행은 양들의 배 아래 몸을 묶어 들키지 않고 탈출합니다. 배를 타고 멀어지면서 오디세우스는 자신의 이름을 밝히며 폴리페모스를 도발하고 분노한 거인은 바위를 던지며 포세이돈에게 오디세우스를 저주해 달라고 기도합니다.
Q.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에서 주인공 개츠비가 아메리칸 드림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개츠비는 아메리칸 드림을 상징하는 인물이지만 그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보여줍니다. 그는 가난한 출신에서 거대한 부를 이루며 상류층으로 올라가려 하지만 부정한 방법으로 성공하고 사회적으로도 완전히 인정받지 못합니다. 데이지와의 사랑 역시 끝내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의 죽음은 아메리칸 드림의 허망함을 상징합니다. 특히 개츠비가 바라보는 초록빛 등대는 그가 평생 쫓아온 꿈을 의미하지만 결국 닿을 수 없는 환상일 뿐입니다. 따라서 개츠비는 아메리칸 드림을 좇는 이상적 인간이면서 동시 그 꿈의 허상과 비극성을 보여주는 인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7172737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