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최근 미국 양자컴퓨터 관련 주식이 크게 상승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최근 미국 양자컴퓨터 주식(IonQ, Rigetti, D-Wave, QUBT 등) 상승 이유1. Quantum World Congress 2025(9/15~18): 업계 리더 모인 행사로 기술 공유·흥분 고조, 2. 기술·파트너십 호재: IonQ, DOE MOU 체결(우주 양자 기술), 합성 다이아몬드 대량생산(2030년 200만 큐비트 목표). Rigetti, DARPA 선정·99.5% 큐비트 충실도 달성.3. 실적 개선: IonQ 2Q 매출 82%↑($20.7M), $1B 자금 조달.4. 투자자 관심: AI·양자 융합 기대, ETF(QTUM) 7%↑. 단기 과열 우려 있으나, 장기 잠재력(수조 달러 시장)으로 긍정 전망입니다.
Q. 미국 주식은 상한 폭이 없어서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주식은 상한가 제한이 없어 장점: 효율적 가격 발견(투명성 높음, 기업 가치 즉시 반영), 고수익 기회(하루 100%+ 상승 가능, 테슬라·엔비디아 사례). 단점: 극심한 변동성(하락 시 50%+ 폭락, 투자자 공황 유발), 리스크 확대(초보자 손실 크며, 서킷 브레이커로 시장 전체 중단 가능). 작전주(펌프 앤 덤프)는 존재소형주·OTC 시장에서 허위 정보 유포로 주가 부풀린 후 매도, SEC 규제(16건 기소 사례)에도 불법 행위가 빈법하게 발생합니다.
Q. 새만금 국제공항은 과연 필요한 시설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새만금 국제공항의 건설 예상 비용은 약 5조원입니다.국제공항은 새만금 개발의 핵심 인프라로 국가 균형발전(투자 유치·경제 활성화) 목적으로 추진되지만, 수요가 충분치 않다는 비판이 큽니다. 항공 수요 예측은 개항 초기 67만 명, 목표 133만 명으로 수치상 경제성에 미달한다고 합니다. 군산공항(인근) 존재로 중복 논란이 있습니다. 그리고 조류 충돌·환경 훼손 우려로 9월 11일 서울행정법원 공항건설에 대한 취소 판결이 났습니다. 국토부는 법원에 항소하며 공익성을 강조하며 공항건설을 강행하고 있으며 수요는 전북권 국제선(중국·동남아)·물류 기대하나, 제주 2공항처럼 지역 갈등·예산 낭비 위험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Q. 초창기 알트코인 중 살아남은 것들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초창기 알트코인 중 살아남은 코인(BTC·ETH 제외)은 강력한 펀더멘탈과 실용성을 갖췄습니다특징1) 유틸리티: 리플(XRP), 라이트코인(LTC)의 경우에는 국경간의 자금결제용으로 많이 사용되면 리플의 경우는 저렴한 수수료, 라이트코인의 경우는 빠른 결제로 현재 많이 사용되는 코인입니다. 2) 커뮤니티·개발: 카르다노(ADA), 스텔라(XLM)처럼 활발한 개발자·커뮤니티 지원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코인입니다. 특히 스텔라의 경우 금융에서 사용됩니다. 3) 기관 채택: XRP(은행 파트너십), LINK(오라클 솔루션)처럼 기관이 많이 이용합니다.
Q. 고배당주는 오직 배당금을 목적으로 투자하는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고배당주 투자는 주로 배당금으로 안정적 현금흐름을 얻는 것이 목적이지만, 주가 변동성도 고려하면서 장기 우상향하는 주식 또는 ETF 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특징고배당주(예: 리얼티인컴 5.1%, 맥쿼리인프라 4%)는 배당률 3~6%로 정기적 수익 제공, 주가 변동성은 낮으나 완전히 없진 않습니다. (시장 리스크, 금리 영향)투자 목적배당금 외에도 장기적 자본이득(주가 상승) 가능한 종목을 찾아 투자. 전략배당 지속성(기업 순이익, FCF) 확인하고 포트폴리오 20~30%로 분산하며 ETF(Aristocrats) 병행하는 것으로 추천합니다. 이는 배당만 노리기보다 안정성과 성장 균형을 노칠수 있기 때문입니다.
Q. 은행이 금리 인하를 하면 주식이나 가상화폐에는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는 지난 2025년 9월 18일에 25bp 를 인하하여 기준금리가 2.25~2.5%가 됐는데이는 주식과 가상화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주식의 경우는 금리 하락은 기업 차입 비용 감소하게 하고 투자·소비 촉진으로 주가 상승(S&P 500 연말 6,500 전망, 10%↑)의 촉매가 됩니다. 특히 기술주(애플, MS)의 경우 금리하락의 수혜를 더 받습니다.가상화폐는 금리인하로 시장의 자금들이 높은 금리 또는 높은 투자수익을 찾아 나옴으로 유동성이 증가하고 고위험 자산 선호하게 되어 BTC, ETH 의 상승을 기대하게 합니다. 다만 인플레 반등이나 트럼프 정책(관세 등)으로 단기 조정(5~10%) 가능이 있으니 분산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Q.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H-1B 비자 수수료 인상 내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주요 내용2025년 9월 19일 트럼프 대통령이 공포한 내용으로, H-1B 비자(고급 기술직 외국인 노동자용) 신청 시 연간 10만 달러(약 1.3억 원) 추가 수수료를 부과한다는 내용임.이는 미국 노동자 보호와 기업의 과도한 외국인 고용 억제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2025년 9월 21일부터 12개월 적용될 예정입니다. 적용 대상미국 밖에 있는 새로운 신청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2025년 로터리 참여자, 기존 비자 소지자(갱신 포함), 미국 내 체류자는 제외됩니다. 물론 여행 자유도 유지는 됩니다. 인상 폭기존 수수료(약 1,500달러)에서 10만달러로 66배 이상 급등한 수수료입니다. 결국 기업 부담 증가로 기술직(소프트웨어 개발 등) 외국인 유치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기존 정책과의 차이점첫 임기(2017~2021)엔 임금 기준 상향및 추첨 변경으로 제한했지만 법원 차단 많았음. 그러나 이번은 직접 수수료 폭탄으로 기업 비용 부담을 증가시킴으로 Train Americans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테크 업계(아마존·MS) 반발 크며, 혁신 저하의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이 정책은 이민 억제·세수 확대(예상 1,000억 달러) 전략의 일부로 보여집니다.
Q. 은행에 현금 1억 입금시 세무조사대상??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현금 1억 원을 은행에 일시 입금해 예금으로 묶었다면, 세무조사 대상이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세무조사는 자금 출처가 불명확하거나 고액 현금 거래(10억 원 이상), 탈세 의심 시 주로 발생합니다. 40대 중후반, 직장생활하며 결혼 후 저축으로 모은 1억 원은 합법적 소득(근로소득·이자소득)으로 소명 가능해 문제될 소지 적습니다. 다만, 은행이 자금세탁방지법상 고액 현금 거래(1일 1,000만 원 이상)로 금융정보분석원(FIU)에 보고할 수 있으니, 소득 증빙(급여 명세서, 원천징수영수증 )으로 충분히 소명 가능하다면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