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인 장이 다시ㅜ하락세이던데 좀 살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 시장이 하락세라도 섣불리 매수하기보다는 신중히 접근하는 게 좋습니다. 비트코인 등 주요 코인은 지정학적 리스크와 금리 정책, 규제 불확실성 등으로 변동성이 큽니다. 반찬값 정도의 소액 투자라면, 달러 비용 평균법으로 나눠 매수하거나, 비트코인 현물 ETF나 스테이블코인 같은 안정적 자산을 고려해보세요. 추가 하락 가능성이 있으니 지지선(예: 비트코인 10만 달러) 확인 후 매수 타이밍을 잡는 게 안전합니다.시장 뉴스(현재 미국의 연준회의를 있을 예정이고 금리인하에 대한 힌트가 있을 것으로 보임, 코인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정책정 결정임) 와 온체인 데이터를 체크하며 조금 더 기다리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락의 수준이 2/3까지는 온듯합니다.
Q. 코인 고래들은 어떻게 개미들 움직임을 전부 파악하고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 고래들이 개미(소액 투자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예측한다고 보긴 어렵지만, 그들의 영향력과 정보 우위가 시장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고래들은 블록체인 탐색기(예: 이더스캔)나 분석 플랫폼(Whale Alert, Glassnode)을 활용해 대규모 거래와 시장 흐름을 실시간으로 추적합니다. (일반 개미들도 확인 가능합니다.)개미들의 FOMO(놓치기 싫은 심리)나 FUD(공포, 불확실성, 의심)를 유발하는 대량 매수/매도로 시장 심리를 조작하기도 합니다. 소셜 미디어와 거래소 유동성 데이터 분석으로 개미의 반응을 예측하며, 고래들은 자본력으로 유동성을 흡수하거나 가격 변동을 유발합니다.하지만 100% 예측은 불가능하며, 개미도 온체인 분석과 리스크 관리로 대응 가능하며 고래의 전략은 정보와 자본의 우위에서 나온다고 하겠습니다.
Q. 은행 예대마진율 추이는 어떻게 변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2025년 최근 경제 기사에 따르면, 은행 예대마진율(예금과 대출 금리 차이)은 2023년 2.03%에서 2024년 2.1%로 소폭 상승 후, 2025년 상반기 약 2.0%로 안정세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됩니다.이는 고금리 기조로 대출 금리가 상승하며 마진이 유지된 결과입니다.통화량(M2)은 2024년 약 2,100조 원에서 2025년 2,200조 원으로 완만히 증가했으나, 예대마진율 확대는 주로 금리 정책과 은행의 대출 전략에 기인합니다.과도한 이자 수익 논란은 마진율 자체보다 대출 규모 확대와 고금리 지속의 영향이 크다하겠습니다.